경인일보가 2019년 최초 보도한 '일제강점기 인천송현초등학교 여학생 7명 일본 본토 강제동원'(2019년 6월4·7·11일자 1·3면 보도=[일제, 초등학생을 징발하다·(1)]끌려간 송현초 여학생들)이 실제론 7명이 아닌 13명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나아가 당시 인천 지역 초등학교 전체에서 일본으로 끌려간 강제동원 피해자가 수십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가 어린 초등학생까지 강제 노역에 동원한 역사는 여전히 빈칸이 많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의원실은 1944년 인천 동구 송현공립국민학교(현 인천송현초) 1회 졸업생인 여학생 13명이 근로정신대로 일본 본토에 강제동원됐다는 기록을 찾아냈다고 13일 밝혔다. 허종식 의원과 보좌진이 경인일보 2019년 보도를 토대로 일제강점기 발행 신문 등 사료와 국가기록원 보유 자료 등을 조사해 추가 강제동원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을 파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의원실은 1944년 인천 동구 송현공립국민학교(현 인천송현초) 1회 졸업생인 여학생 13명이 근로정신대로 일본 본토에 강제동원됐다는 기록을 찾아냈다고 13일 밝혔다. 허종식 의원과 보좌진이 경인일보 2019년 보도를 토대로 일제강점기 발행 신문 등 사료와 국가기록원 보유 자료 등을 조사해 추가 강제동원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을 파악한 것이다.
허종식 의원실, 자사 보도 토대
사료·국가 기록원 자료 조사해
피해자 소송은 대법원 계류 중
인천지역 수십명 동원 파악
동구·미추홀구 실태 연구 필요
사료·국가 기록원 자료 조사해
피해자 소송은 대법원 계류 중
인천지역 수십명 동원 파악
동구·미추홀구 실태 연구 필요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가 1944년 7월4일자 3면에 '전별금 헌납 정신대의 미담'이란 제목으로 게재한 기사를 보면 '인천부(현 인천시)의 여자 근로정신대 모집에 따라 송현국민학교에서 졸업생 27명이 응모, 13명이 합격했다'고 나온다. 같은 날 매일신보가 게재한 '근로봉사 굳게 맹세, 경성·인천 출신 정신대 합동장행회'란 제목의 기사를 보면, 송현초 학생들은 함께 동원된 인천의 다른 학교 학생들과 7월2일 서울에서 시가행진한 후 일본으로 떠났다. 만 13세 소녀를 전쟁에 동원한 '여자정신근로령'은 1944년 8월23일 공포·실시됐지만, 그 이전부터 10대 소녀들의 강제동원이 있었다는 걸 입증하는 기록이기도 하다.
송현초 여학생들의 강제동원 사실은 당시 교사로 근무한 일본인 와카타니 노리코(1925년생) 고백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노리코는 자신이 담임을 맡았던 학급 여학생들을 일본으로 보낸 적이 있다며, 그때 제자들을 찾고 싶다고 지역 언론사인 경인일보와 민족문제연구소에 도움을 요청했다.
경인일보는 2019년 일본 현지 취재를 통해 1944년 9월 찍힌 송현초 제1회 졸업 기념·정신대원 환송회 사진 등 자료를 입수했고, 사진 속 근로정신대 동원 여학생이 7명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일본 도야마현에 있는 전범 기업 '후지코시강재주식회사'에서 노역했다. 이 회사를 상대로 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배상 소송은 아직도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실제로 송현초에서만 13명이, 인천에서 수십명이 동원됐다는 게 이번에 밝혀졌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은 송현초 근로정신대를 비롯해 학생을 강제동원한 대표적 도시로 꼽힌다"며 "특히 동구와 미추홀구는 일제의 대규모 군수공업지대로 조성됐음에도 강제동원 실태에 대해선 거의 파악되지 않아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현초 여학생들의 강제동원 사실은 당시 교사로 근무한 일본인 와카타니 노리코(1925년생) 고백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노리코는 자신이 담임을 맡았던 학급 여학생들을 일본으로 보낸 적이 있다며, 그때 제자들을 찾고 싶다고 지역 언론사인 경인일보와 민족문제연구소에 도움을 요청했다.
경인일보는 2019년 일본 현지 취재를 통해 1944년 9월 찍힌 송현초 제1회 졸업 기념·정신대원 환송회 사진 등 자료를 입수했고, 사진 속 근로정신대 동원 여학생이 7명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일본 도야마현에 있는 전범 기업 '후지코시강재주식회사'에서 노역했다. 이 회사를 상대로 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배상 소송은 아직도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실제로 송현초에서만 13명이, 인천에서 수십명이 동원됐다는 게 이번에 밝혀졌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은 송현초 근로정신대를 비롯해 학생을 강제동원한 대표적 도시로 꼽힌다"며 "특히 동구와 미추홀구는 일제의 대규모 군수공업지대로 조성됐음에도 강제동원 실태에 대해선 거의 파악되지 않아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 지역 강제동원 피해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2019년 경인일보 보도 이후 인천시는 2020년 일제강점기 여자 근로정신대 구술 기록집 '빼앗긴 나라, 잊혀진 존재'를 펴냈다. 이 기록집에 따르면 인천에 본적을 둔 강제동원 피해자는 4천802명, 경기도 강화(현 인천시 강화군)가 본적인 피해자는 5천830명이다. 이 기록집은 인천 출신 강제동원 피해자의 구술이 없다는 점이 아쉽다고 평가되는데, 근로정신대는 일본군 위안부와 같다고 여기는 인식 때문에 특히 여자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이 나서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게 학계 설명이다.
인천시는 2016년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 여성 근로자 지원 조례'를 제정해 그해부터 매달 생활보조비,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조례 제정 당시 지원 대상자는 7명이었으나, 현재 3명으로 줄었다.
인천시는 2016년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 여성 근로자 지원 조례'를 제정해 그해부터 매달 생활보조비,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조례 제정 당시 지원 대상자는 7명이었으나, 현재 3명으로 줄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