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1501000566000028501

입추도, 말복도 지났는데 한낮 무더위는 여전하다. 최근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한풀 꺾이는 듯했던 폭염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조금만 밖을 돌아다녀도 땀이 줄줄 흐른다. 30℃ 이상의 고온과 높은 습도에 몸은 지칠 대로 지쳐간다. 열대야에 밤잠도 설치기 일쑤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시대가 끝나고, 끓는 지구(global boiling)의 시대가 시작됐다고 한 말을 실감하게 된다.

절기상 가을로 접어드는 입추가 지났다고 해서 온열질환 등을 방심해선 안 된다. 고온다습한 날씨에 구토, 고열, 어지럼증, 무력감 등을 겪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낮 무더위와 함께 일교차가 커지는 이맘때에는 건강관리에 더욱 힘써야 한다.

장시간 고온에 노출된 상황에서 무리한 신체활동을 하면 땀으로 많은 수분과 전해질이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붉은 뾰루지 또는 물집이 생기는 증상(열발진), 근육경련(열경련), 현기증, 무기력(열피로), 실신(열실신)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고온다습 날씨 구토·고열·어지러움 증세 호소
한낮 무더위·열대야·일교차 커 건강관리 당부
수분·전해질 결핍 지속땐 체온조절 중추 문제


백진휘 인하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은 "고온의 환경, 수분과 전해질의 결핍이 지속하면 체온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중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그러면 체온은 더욱 오르게 되고 수분과 전해질 결핍이 더욱 가속화해 열사병에 이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열사병은 온열손상 중 가장 심각한 단계로 체온이 40℃ 이상으로 올라가지만 땀이 나지 않고 의식변화를 일으키는 응급질환이다. 심하면 급성신부전, 쇼크로 이어져 사망하기도 한다"고 강조했다.

한낮에는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평소보다 더욱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백 센터장은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몸은 이미 갈증을 느끼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시간을 정해놓고 규칙적으로 소량의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고 조언했다.

외출을 되도록 삼가고 부득이 야외 활동을 할 때에는 햇볕을 피해서 그늘진 곳으로 다녀야 한다. 백 센터장은 "야외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경우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을 권한다"며 "특히 이런 시기에는 노약자나 만성질환자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혹시 노약자 등이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면 무리하게 옮기려 하기보다는 즉시 119 구급대원이나 의료진 등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쓰러지면서 바닥이나 딱딱한 물체에 부딪혀 머리나 목 부위를 다치는 2차 사고가 생겼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 /클립아트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