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701001038600054121.jpg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노선 확정이 임박한 가운데 김포시청사 인근 사우역사에 인천시 측의 비협조를 성토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3.8.2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이달 안에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노선을 확정하기로 예고한 가운데 인천시가 금요일인 지난 25일까지 노선안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노선 확정이 연기될 경우 콤팩트시티 추진을 앞둔 김포시만 애가 타고, 김포 단독제출 노선으로 확정될 경우 인천시민의 원성이 대광위에 상당 부분 쏠리게 될 상황임을 고려할 때 인천시가 대광위로 공을 넘기는 전략을 택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가철도망계획 당시 김포·인천 다 건폐장 반대...
건폐장부터 해결 의미로 '지자체 합의' 명시된 것"
김포원도심총연 "골드라인 고통받아온 민심 한계"
검단비대위 "무산되면 인천 과실행정으로 남을것"


27일 김포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인천지법(지원)·인천지검(지청)이 검단에 들어선다는 등의 이유로 인천 노선안이 합리적이라는 여론이 최근 인천 쪽에서 조성되던데 그렇게 타당한 노선이면 왜 제출을 안 하는지 의문"이라며 "검단신도시 광역교통대책인 인천1호선이 엄연히 존재하는 데다 인천2호선까지 검단을 가로지르는 마당에 5호선 역사를 또 세 곳이나 설치한다면 경제성 확보가 생각처럼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천시가 노선용역을 막바지에 중단한 것도, 노선안을 제출하지 않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본다"며 "의도했든 안 했든 대광위가 책임을 떠안는 모양새로 흘러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지난 2021년 국토부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김포한강선(5호선 연장)을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하며 고시한 '지자체 합의' 문구가 이미 충족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철도업계 한 관계자는 "당시에는 김포시와 인천시 모두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장 이전을 강하게 거부했기 때문에 '노선계획 및 차량기지 등 관련시설에 대한 지자체 간 합의 시 타당성 분석을 거쳐 추진'이라고 명시된 것"이라며 "관련시설의 핵심은 건폐장이고, 지난해 말 서울시·강서구·김포시 간 건폐장 합의가 이뤄져 5호선이 김포 콤팩트시티 광역교통대책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고시문의 '지자체 합의' 문구는 지자체끼리 알아서 노선을 정하라는 게 아니라 건폐장 문제부터 해결하라는 의미였고, 이게 해결된 지금은 대광위가 주저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포원도심총연합회 정동영 위원장은 "대광위는 8월 말까지 노선을 확정하겠다고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만큼, 노선안 제출을 보류하고 있는 인천시에 휘둘리지 말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며 "골드라인으로 고통받아온 김포시민들의 민심이 한계에 다다랐다"고 말했다.

또 검단5호선비상대책위원회는 "대광위 직권 중재는 8월 말까지 반드시 확정돼야 한다. 사업이 무산되면 서울지하철의 검단 직결은 영원히 없을 것이고 이는 인천시의 과실행정으로 남게 될 것"이라며 대광위의 노선 확정을 촉구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