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이달 중 부평구 부개·일신동 지역 주민과 초·중통합운영학교 도입(8월 24일자 6면 보도=학부모 반대 인천 부개·일신지역 '초·중등통합학교' 해법 찾을까) 여부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한 '부개·일신지역 초·중통합운영학교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중이다.

이 지역 학생들의 원거리 통학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단설 중학교 신설'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중학교 신설이 불가능하다면 초·중통합운영학교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부개·일신지역은 중학교가 없어 학생들이 배차간격이 긴 버스를 기다리거나, 집에서 30분가량 걸어서 멀리 떨어진 학교로 통학해야 했다. 학부모 등 주민들은 수년째 중학교 신설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부평구는 학령인구가 줄어 기존 중학교로도 모든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어 교육부의 학교 신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인천시교육청은 대안으로 초·중통합운영학교를 검토하고 있다.

초·중통합운영학교에 대한 일부 학부모들의 우려는 여전하다. 교실과 운동장 등 수업에 필요한 공간을 나눠 써야 하는 문제,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 마찰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현재 통합운영학교 설립 부지로 논의 중인 학교는 일신초·동수초·부개초·금마초 등 총 4곳인데, 통합운영학교를 반대하는 학부모들은 어느 학교로 결정될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초·중통합운영학교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는 학부모들도 있다. 인천시교육청이 운영하는 통학버스가 최근 일신동에도 다니기 시작하면서 학생들의 불편이 일부 해소됐지만, 장기적으로는 부개·일신지역에 중학교가 있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시교육청은 조만간 이번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마치고, 이를 바탕으로 부개·일신지역 중학교 설립 관련 소통협의회를 열 계획이다. 소통협의회에는 주민과 학부모, 학교 관계자, 지자체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6일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단설 중학교 또는 초·중통합운영학교 등 이 지역에 중학교가 필요하다고 주민들이 인식하고 있다"며 "이달 중 소통협의회를 열고 사업 추진 방향이나 부지 선정 등을 논의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