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남은 농촌공간계획법 시행… 농어촌공사 경기본부-경기도, 머리 맞댔다

2023091301000537800025491.jpg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제공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와 경기도가 농촌공간계획법(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농어촌공사 경기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송성일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개발이사와 정인노 경기지역본부장, 박종민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 등 농어촌공사·농림축산식품부·경기도·시군, 산·학·연 관계자 90여명이 참석했다.

내년 3월 농촌공간계획법 시행 앞두고
경기도 특성에 맞는 농촌 관리 위해 종합 논의
향후 의제 발굴해 협의 확대 계획


이번 포럼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진 것은 내년 3월에 시행되는 농촌공간계획법이다. 농촌지역도 도시처럼 장기 계획을 세워 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법이다. 농촌 공간의 체계적,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농촌의 일정 지역을 용도에 따라 구획화하는 농촌특화지구를 도입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각 분야 전문가들은 농촌공간계획법의 주요 내용과 과제, 농촌공간 정비사업에 대한 이해와 경기도의 대응방안, 경기도의 농촌 개발 사업 추진 사례, 농촌공간 정책 시행에 따른 주체별 역할 등을 주로 논의했다.



2023091301000537800025492.jpg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제공

종합토론에선 난개발·지방소멸 등 경기도 농촌이 직면한 문제를 공유하면서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하는 한편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향후 농어촌공사 경기본부는 지역 내 농촌 공간 조성에 대한 의제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와 각 지역 연구원, 대학 등과의 협의를 확대해 지역 개발 발전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정인노 본부장은 "포럼을 계기로 경기도 관계자들과 함께 기존에 구축된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산·학·연과도 지속적으로 협력해 발전적인 대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3091301000537800025493.jpg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제공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

김동한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