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 '민선 8기 K-교육도시 종합계획' 마련 주목

3대 추진전략·48개 실행과제 담아
2023101801000600900031341.jpg
시흥형 마을교육특구 시범사업 추진 권역. /시흥시 제공
시흥시가 교육도시를 선포하고 혁신교육지구로 지정한 지 13년째 맞았다. 올해는 시흥미래교육협력지구로 확대해 3대 추진전략과 48개 실행과제를 담은 '민선 8기 K-교육도시 종합계획'을 마련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3대 추진 전략 중 하나인 '미래교육'은 학생과 학부모 등 시민 요구가 가장 많은 분야다. 지난해 10월 추진한 '교육도시 시흥 주요 정책 방향' 조사에 따르면 진로 체험 기회 확대와 미래 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48.6%로 가장 높았다. 이에 시흥시는 시민 수요에 대응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신기술, 신산업 분야를 접목한 진로진학 교육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창의진로체험학교'는 초중고 학생들이 버스를 타고 시흥 곳곳의 체험터에서 생생한 진로 체험을 하는 것으로 증강현실, 시화호, 도시농업, 거북섬 등 매년 40여 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학년별 진로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 수준에 맞게 강의와 체험을 오가며 깊이 있는 주제 프로젝트를 접한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진로를 열어주는 고교만들기', '진로진학 길찾기'를 통한 진로진학컨설팅, 팀러닝 창업활동, 진로 로드맵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메이커페스티벌 등 다양한 활동으로 미래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시는 올해부터 진로체험지원센터를 직영화했다.

'직통로332(직업으로 통하는 진로)'는 시청 내 분야별 전문직업인들이 수업 중 아이들을 만나 자신이 꿈을 이뤄온 과정을 공유하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은 의생명융합공학자, 디지털전환 전문가 등 이색 직업군을 체험할 수 있다.

시민들도 진로 교육에 있어 예외는 아니다.

학교 담벼락을 넘은 270여 개의 '동네교육과정'과 '시흥형 마을교육특구'를 통해 동네 주민들도 생활 속 진로 탐색이 가능하다. 커피, 요가, 문화예술, 자동차 디자인, 제빵, 드론, 해양조선, 자율주행 등 다양한 배움을 즐길 수 있으며 특히, '학교안공유교실'의 코딩, 가상게임 만들기, 목공, 뷰티아트, 보드게임 등 특화된 체험 교육에는 3천500여 명의 주민과 학생이 참여하고 있다.

선호도 높은 미래교육… 신기술 접목 진로교육 전환
학생 위한 창의진로체험학교·시민들 '동네교육과정'
통해 제빵, 커피 등 배움 체험… 진로아카데미도 추진

2023101801000600900031342.jpg
진학역량박람회 현장. /시흥시 제공

지난 8월 시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이 참여하는 기초단위 전국 최대 규모의 '진학역량박람회'를 열었다. 전공특화계열(의료보건·호텔관광외식조리·항공관광·예체능 등) 39개 대학 입학사정관 상담, 일반, 예체능, 특성화, 다문화 계열 진학 상담, 경영학, 바이오시스템공학 등 94개 부스 운영 등을 통해 관내 고등학생과 학부모 1천905명에게 맞춤형 진학 정보를 제공했다.

더불어 시흥시와 서울대의 교육협력사업인 '스누로'는 서울대 8개 계열 학과 학부생 및 석사과정 멘토들이 시흥시 중·고생에게 대학 전공 탐색과 캠퍼스 투어, 모의 면접, 학습법 코칭, 포트폴리오 작성 등 다양한 멘토링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진로 교육의 수준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자녀들의 고입·대입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진학 유형에 혼란스러운 학부모들을 위해 '학부모 진로진학 아카데미'도 추진 중이다. 대입제도 설명을 비롯해 진로진학 전문가들과의 1:1 맞춤형 상담, 공기업·지역기업 등의 구체적인 채용 트렌드 소개 등이 진행되며, 오는 11월에도 1천여 명 학부모를 위한 권역별 아카데미가 열릴 예정이다.

임병택 시장은 "시흥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이 시흥의 모든 교육 자원을 충분히 누리고 지역을 위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교육도시 시흥의 주된 목표"라며 "장벽 없는 교육을 통해 자신의 꿈을 찾고, 스스로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시흥/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

김성규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