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전경 (17)
김포의 서울시 편입론으로 촉발된 경기·서울 인접 지자체 편입 논의는 김포와 김포 외 지자체로 나눠 봐야 한다는 게 김포지역 분위기다. 김포시 도심 전경. 2023.10.3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김포시 서울 편입 추진 논란 속에, 김포지역 경제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농어업 종사자들은 경기도에서 지원하던 농민기본소득 등 농·어업인 혜택이 사라지는 등 서울 편입이 오히려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서울 편입 시 김포 일부 지역에 적용되던 대학 입시의 '농어촌 특별전형'도 사라지게 돼, 교육 역시 문제가 될 소지가 크다.


5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김포시 농가인구는 1만4천178명에 달한다. 등록된 어업인도 979명이다. 쌀 생산량만 2만2천t이다. 과일 특산지이기도 해서, 김포 배 100여t이 매년 수출된다. 김포시는 이에 경기도로부터 많은 농어업 지원을 받는다. 농민기본소득 등 다양한 지원금은 물론 종자 보급사업, 꽃게·황복 등 어종 방류사업 등도 이에 해당된다.

반면 치유 농업 등에 치중하는 서울시는 이 같은 지원이 사실상 없다. 특히나 서울은 어업에 대한 행정경험이 전무하다. 지난해 서울시 농경지 면적은 613㏊로 김포시 면적(6천222㏊)의 10% 수준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김포, 서울 편입시 불이익도 상당
6일 김병수·오세훈 만남에 주목

농민 김모(60)씨는 "서울로 편입된다면 농민기본소득을 비롯한 보조사업이 끊기지 않을까 우려된다. 현재 토종 종자 사업을 진행하며 경기도로부터 생산보상금도 지원받는 상황"이라고 했다.

서울 편입 시, 농어촌 지역의 교육도 문제다. 농어촌 특별전형은 교육환경이 열악한 읍·면 지역 학생들을 위해 만든 전형인데, 김포의 경우 읍·면 지역은 통진읍·고촌읍·양촌읍과 대곶면·월곶면·하성면 등 6곳이다. 하지만 김포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농어촌 특별전형 지원 이점은 사라지게 된다. 이는 서울 학생들과의 교육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드는 셈이다.

한편 김병수 김포시장은 6일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서울 편입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논란이 커진 상황이어서 오 시장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 지도 관심사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

2023110101000079500002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