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구름산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수년째 지지부진한 가운데 부지조성공사(토지구획정리사업)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체비지 매각마저 유찰되며 사업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5일 광명시에 따르면 최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의 '온비드'를 통해 구름산지구의 체비지인 A5블럭을 일반공개경쟁입찰한 결과, 입찰자가 없어 유찰됐다.
5일 광명시에 따르면 최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의 '온비드'를 통해 구름산지구의 체비지인 A5블럭을 일반공개경쟁입찰한 결과, 입찰자가 없어 유찰됐다.
부지조성공사 비용 충당 어려워져
분양가격 상승 전망 유찰 이유로 꼽혀
건축 인허가 신청 못해 건설사 부담 ↑
시공사 회생절차 등 2027년 완공 우려
구름산지구는 소하동 가리대, 설월리, 40동 마을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개발사업으로 개발 면적은 77만2천855㎡이다. 또한 A5블록(2만9천145㎡)의 건폐율·용적률은 각각 30%·180%로, 528가구를 신축할 수 있다.
A5블럭의 최하입찰금액인 예정가격이 2천200억원(3.3㎡당 2천495만원)에 달하면서 분양 선호도가 낮은 중·소형아파트에도 불구하고 추후 분양가격이 3.3㎡ 당 3천500만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너무 높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계약금(입찰보증금·20%)과 중도금(40%)을 납부하더라도 잔금 납부(지장물 철거 완료일 이후 2개월 이내) 때까지 건축인허가 신청마저 가로막혀 건설사에게 과중한 부담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PF 금리 인상으로 건설경기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데도 A5블럭은 환지처분 예정일인 오는 2027년 12월까지 계약금과 중도금의 금융비용(이자) 등은 고스란히 건설사가 떠안을 수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원주민들의 이주대책 방안도 수년째 제자리걸음만 하면서 이주·철거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난해 12월 부지조성공사 시공사로 선정된 대우조선해양건설이 지난 2월 초 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개시결정을 받고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실제 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올해 1월 착공해 오는 202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었지만 착공이 6개월가량 늦어졌을 뿐만 아니라 대우조선해양건설의 회생절차 진행으로 2027년 10월 완공 여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건설업계 상황, 분양 가능성, 시중 자금 사정 등 유찰된 이유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다음 입찰 일정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구름산지구는 소하동 가리대, 설월리, 40동 마을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개발사업으로 개발 면적은 77만2천855㎡이다. 또한 A5블록(2만9천145㎡)의 건폐율·용적률은 각각 30%·180%로, 528가구를 신축할 수 있다.
A5블럭의 최하입찰금액인 예정가격이 2천200억원(3.3㎡당 2천495만원)에 달하면서 분양 선호도가 낮은 중·소형아파트에도 불구하고 추후 분양가격이 3.3㎡ 당 3천500만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너무 높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계약금(입찰보증금·20%)과 중도금(40%)을 납부하더라도 잔금 납부(지장물 철거 완료일 이후 2개월 이내) 때까지 건축인허가 신청마저 가로막혀 건설사에게 과중한 부담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PF 금리 인상으로 건설경기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데도 A5블럭은 환지처분 예정일인 오는 2027년 12월까지 계약금과 중도금의 금융비용(이자) 등은 고스란히 건설사가 떠안을 수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원주민들의 이주대책 방안도 수년째 제자리걸음만 하면서 이주·철거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난해 12월 부지조성공사 시공사로 선정된 대우조선해양건설이 지난 2월 초 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개시결정을 받고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실제 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올해 1월 착공해 오는 202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었지만 착공이 6개월가량 늦어졌을 뿐만 아니라 대우조선해양건설의 회생절차 진행으로 2027년 10월 완공 여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건설업계 상황, 분양 가능성, 시중 자금 사정 등 유찰된 이유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다음 입찰 일정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