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매립지 연장 가능성을 열어둔 김포시 행태를 규탄(11월8일자 1·3면 보도=[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매립장 주고 편입하나… 김포-서울 '빅딜설' 수상한 냄새)하는 목소리가 인천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이어졌다.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가 8일 연 인천시 환경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순학(민·서구5) 의원은 "(김포시가 구상한) 수도권매립지 4매립장 이용은 서구를 앞으로 30여 년간 또다시 쓰레기매립장으로 만들겠다는 의미"라며 "4매립장에 쓰레기를 묻는다는 것은 수도권매립지를 존치한다는 점에서 4자 합의(인천·서울·경기·환경부) 정신에 맞지 않는다"고 했다.
이 같은 지적은 최근 김병수 김포시장이 수도권매립지 4매립장을 김포시 땅이라고 주장하며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배치되는 발언을 한 데 따른 것이다.
인천시는 김포시의 4매립장 이용 계획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철수 인천시 환경국장은 "4매립장은 공유수면으로 (김포시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며 "수도권매립지는 4자간 합의한 내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건설교통위원회의 글로벌도시국 행감에서는 지지부진한 인천역과 동인천역 일대 개발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주민 공론화는 물론, 적극적인 행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인천시는 인천역, 동인천역 일대에 새로운 개발 사업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교통위 소속 조성환(민·계양1) 의원은 "(동인천역 개발 사업 등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공약 사업에 포함되면서 민선 6기, 7기에서도 추진됐지만 취소됐다"며 "10여 년간 많은 사업비가 투입됐지만, 명확한 대안은 없어 보인다"고 했다.
류윤기 인천시 글로벌도시국장은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인천도시공사를 통한 전면 개발 방식을 적용할 방침"이라며 "타당성조사 등 용역을 발주해 진행 중이다"고 답했다.
/김명래·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