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철 3호선 연장'을 공동 추진하기로 한 수원·용인·화성·성남시가 최적의 방안을 찾기 위한 공동 용역에 착수했다.
9일 성남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수원시 상황실에서 '서울3호선 연장·경기남부광역철도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용역 착수보고회'를 갖고 내년 9월까지 연장 노선에 대한 경제성·사업 타당성·최적 노선 도출 등을 모색한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각 분야 철도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차량기지 이전 및 서울3호선 연장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용역의 추진 방향과 일정계획 등을 점검했다. 타당성조사 용역의 세부 과업 내용은 ▲교통수요 예측 ▲최적 대안 및 경제성 검토 ▲차량기지 검토 ▲상위계획 검토 등이다
앞서 수원·용인·성남시는 지하철 3호선 연장을 공동 추진하기로 하고 협의체를 구성한 뒤 2020년 8월 각각 1억원씩 분담해 1년 기간의 용역을 진행한 바 있다.
수원시청서 착수보고회 개최
내년 9월까지 1년간 진행
경제성·사업 타당성·최적 노선 도출
차량기지 문제가 관건
당시 용역에서는 수원 세류~서울 수서, 수원 세류~서울 잠실, 수원 세류~성남 고등지구 등 3가지 노선에 대한 '광역 경전철' 경제성 평가도 진행했는데 결과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3호선 수서차량기지를 대신할 차량기지 부지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흐지부지됐다.
이번 용역은 기존 3개 시 외에 화성시가 '지하철 3호선 연장'을 공동 추진하기로 하면서 4개 시가 추진하게 됐다.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시킨다는 목표도 세워놓고 있다.
4개 시는 앞서 지난 2월 경기도와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경기남부 광역철도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상생 협약'을 체결했고,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3호선 연장은 서울시의 수서차량기지 이전 계획에 맞춰 추진되고 있는 만큼 '차량기지 부지'는 필수 전제 조건으로 33만㎡ 이상의 부지가 필요한 상태로 이번 용역에서도 차량기지 문제가 가장 큰 관건이 될 전망이다.
성남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경기 남부지역 상습정체 문제 해소를 위한 사업전략을 수립해 국가 상위계획인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성남시는 용인서울고속도로 축을 따라 성남 고등 대장지구와 판교테크노밸리 등이 추가 개발되고 있어 민선 8기 공약사업인 지하철 3호선 연장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
신상진 시장은 "2024년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위한 계획이 수립 검토되는 중요한 시기로, 올해 2월 성남시와 수원·용인·화성, 경기도가 협약을 통해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추진하는 타당성 용역인 만큼 4개 지자체가 공동대응하고 힘을 합쳐 철도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 9월까지 1년간 진행
경제성·사업 타당성·최적 노선 도출
차량기지 문제가 관건
당시 용역에서는 수원 세류~서울 수서, 수원 세류~서울 잠실, 수원 세류~성남 고등지구 등 3가지 노선에 대한 '광역 경전철' 경제성 평가도 진행했는데 결과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3호선 수서차량기지를 대신할 차량기지 부지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흐지부지됐다.
이번 용역은 기존 3개 시 외에 화성시가 '지하철 3호선 연장'을 공동 추진하기로 하면서 4개 시가 추진하게 됐다.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시킨다는 목표도 세워놓고 있다.
4개 시는 앞서 지난 2월 경기도와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경기남부 광역철도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상생 협약'을 체결했고,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3호선 연장은 서울시의 수서차량기지 이전 계획에 맞춰 추진되고 있는 만큼 '차량기지 부지'는 필수 전제 조건으로 33만㎡ 이상의 부지가 필요한 상태로 이번 용역에서도 차량기지 문제가 가장 큰 관건이 될 전망이다.
성남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경기 남부지역 상습정체 문제 해소를 위한 사업전략을 수립해 국가 상위계획인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성남시는 용인서울고속도로 축을 따라 성남 고등 대장지구와 판교테크노밸리 등이 추가 개발되고 있어 민선 8기 공약사업인 지하철 3호선 연장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
신상진 시장은 "2024년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위한 계획이 수립 검토되는 중요한 시기로, 올해 2월 성남시와 수원·용인·화성, 경기도가 협약을 통해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추진하는 타당성 용역인 만큼 4개 지자체가 공동대응하고 힘을 합쳐 철도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