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 마스터플랜에는 인천 내항 등 구도심 일대 주요 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전제로 한 개발사업이 포함됐다. 대형 공연장, 고층 전망대 건립 등 주요 사업이 파급 효과를 얻으려면 관계 기관 합의, 민간 자본 조달 등 선결 과제를 이행해야 한다.
인천시 제물포 르네상스 마스터플랜 계획 중 내항 1·8 부두와 인천해역방어사령부 부지에 각각 공연장, 마리나를 건립하는 사업은 해당 부지 소유 기관과 합의가 우선 이뤄져야 한다.
'1·8부두' '인방사 부지' 합의 필요
市 "대기업 등 여러 곳 참여 의사"
인천시는 케이팝(K-POP) 등 규모가 큰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공연장을 내항 1·8부두에 건립해 지역 랜드마크로 활용하는 계획을 마스터플랜에 담았다. 단 인천시 계획대로 개발사업을 추진하려면 내항 소유권을 가진 인천항만공사(IPA)와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 인천시는 IPA에 내항 해양문화 친수 공간 조성을 목표로 한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 참여를 제안해 둔 상태다.
수도권 곳곳에서 대규모 공연장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인천 공연시설의 역할·기능을 차별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인천 영종도 카지노 복합리조트 인스파이어에는 전문 공연장인 다목적 아레나가 들어섰다. 청라국제도시에는 신세계그룹 주도로 스포츠 경기, 공연을 여는 멀티스타디움 돔구장이 건립된다.
전국적으로도 서울시 '서울아레나', 경기 하남시 'MSG 스피어' 등 대규모 케이팝 공연장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케이팝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에 비해 한국의 공연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지만, 관련 시설 건립계획이 잇따르는 만큼 향후 활용도 등을 따져봐야 한다.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이하 인방사)에 마리나·주거단지를 조성하려면 우선 국방부와 군부대 이전 후보지를 도출해야 한다. 인방사 이전 후보지를 두고 국방부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사안이다. 인천시, 국방부는 2009년 인방사 이전을 위한 양해각서까지 체결했지만, 사업비 분담 등 여러 문제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동인천역에 제물포구(가칭) 신청사를 짓는 사업도 인천시 주도의 신규 개발사업 적용, 민간 보상 등 풀어야 할 사항이 남아있다.
전문가들은 마스터플랜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행정 절차상 난관을 서둘러 매듭짓고 민간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방안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천시에서 과거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 투자 유치 업무를 맡았던 한 인사는 "유관기관 합의는 물론 민간 투자자의 수익성 담보, 부동산 경기 회복 등 두 가지가 갖춰져야 인천시의 개발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다"며 "민간은 오피스텔·아파트 등 즉각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조건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 여부를 검토한다. 사업 대상지 내 바다 조망권 등 매력적 요소를 활용해 최대한 인천시 개발계획에 부합하는 투자를 유치해야 한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현재 추진하는 사업에 대기업 등 민간 여러 곳에서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다"며 "각 사업의 추진계획을 세워 향후 민간 투자를 유치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