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인천아트플랫폼 전국 공모 '레지던시' 기능 잠정 중단 및 이전 계획에 대한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인천시의 인천아트플랫폼 운영 개편 방침을 반대하는 1천여 명의 문화예술인이 반대 성명서를 발표한 이후 예술단체와 인천 시민사회단체의 반대와 공론화를 위한 대책기구가 꾸려지고 있으며 인천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질의가 있었다. 앞으로 입주작가들의 시위를 비롯한 예술인들의 행동, 토론회 등이 예정돼 있다.
인천시가 내놓은 개편안의 골자 중 하나는 인천아트플랫폼의 전국 공모 레지던시 기능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시민들을 위한 공간과 지역 예술가를 위한 창작 공간 지원은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방침은 은근히 시민과 예술인은 물론 지역과 전국 예술인의 대립을 암암리에 전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천지역 예술인과 타 시도 예술인을 나누는 것은 '교류를 통한 창조'라는 인천아트플랫폼의 조성 목적이나 레지던시 제도의 고유 목적을 부정할 뿐 아니라 국제도시를 지향하는 인천이 오히려 협소한 지역주의를 조장하는 '반문화적 논리'라고 지적한다.
인천아트플랫폼 전국 공모 레지던시 잠정 중단 및 이전 계획은 인천시 문화정책의 성공적 성과와 십수 년간 쌓아올린 문화자산을 스스로 허물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레지던시는 2010년부터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와 연구자들이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이미 여러 편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에서도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를 인천 내의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전국의 예술가들이 모여 교류하고, 지역민과 문화적 소통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인천시가 인천아트플랫폼에 '스타벅스' 입주를 제안했다는 사실을 문화계는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실제로 인천시가 예술 지원 공간인 아트플랫폼에 '레트로' 카페나 관광테마거리를 조성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면, 이는 지방정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선도한 부끄러운 사례가 될 것이다.
이 논란의 원인은 인천시가 제공했다. 인천아트플랫폼 전국 공모 레지던시 기능에 대한 평가도 대안도 없이 이전 계획을 수립하면서 논란을 자초한 것이다. 해결의 첫 단추는 이번 개편안이 어떤 평가에 근거한 것인지, 그리고 인천아트플랫폼 운영에 대한 인천시의 구상과 계획이 무엇인지 공개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그래야 공론화가 가능하다.
[사설] 인천시는 인천아트플랫폼 운영구상부터 밝혀라
입력 2023-11-16 19:55
수정 2024-02-06 19:44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1-17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