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서울시 교통현안 해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2 (2)
유정복 인천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7일 서울시청에서 공항철도~서울 9호선 직결 등 '교통현안 해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3.11.17 /인천시청 제공

운영비 '서울'-시설비 절반 '인천'
직결노선 개통까지 최소 4년 걸려

月 1만4천여명 교통비 부담 줄여
예산 추계 일반버스·철도 확대 과제

인천시와 서울시가 광역교통 현안을 두고 손을 맞잡았다. '공항철도~서울지하철 9호선 직결사업'을 비롯해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등 수도권 교통분야에 대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을 약속했다.

 

본궤도 오른 '공항철도~서울 9호선 직결'
유정복 인천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7일 서울시청에서 '인천-서울 교통현안 업무협약'을 맺었다. 공항철도~서울 9호선 직결사업은 인천공항 제2터미널에서 김포공항을 거쳐 서울 중앙보훈병원까지 약 80.2㎞ 구간을 연결하는 내용이다. 공항철도와 서울 9호선이 직결되면 김포공항역에서 환승 없이 서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천시는 영종·청라·계양 등 인천 서북부 지역 주민들의 교통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항철도~서울 9호선 직결사업은 지난 1999년 정부가 공항철도와 서울 9호선 연계 방안을 수립하면서 시작됐다. 궤도 연결 등 공사는 마무리 됐지만 서울시가 인천시에 사업비·운영비 분담을 요구하며 20년 넘게 지지부진했는데, 이번에 두 지자체가 '극적 합의'를 이루면서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서울 9호선 직결 운영비는 서울시가 전액 부담하되, 시설비의 절반을 인천시가 분담하는 내용으로 합의안을 도출했다.

앞서 2015년 기준 서울 9호선 전체 시설비(401억원) 중 서울시가 부담할 시설비는 241억원으로 책정된 바 있다. 서울시 몫의 절반을 인천시가 분담하게 된다. 시설비는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다시 책정해야 하는 것으로, 최종 시설비는 2015년 당시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 노선도 참조

2023111901000793600039712

직결 노선이 본격적으로 개통하기까지 최소 4년가량의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인천시는 예상했다. 현재 공항철도~서울 9호선 직결사업은 신호·통신설비를 설치하고 차량을 새로 제작해야 하는 절차가 남아있다.

차량을 새로 만드는 데만 2년 정도 걸리고, 시운전 기간은 7개월 정도 소요된다. 예산 확보와 차량 제작 용역 발주·계약 등 행정 절차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역 주민들이 바라는 숙원을 해결했다는 점에 큰 보람을 느낀다"며 "차량 도입 문제를 비롯해 정부 등이 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는데, 이른 시일에 직결사업이 완성되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기후동행카드' 탑승 의지 밝힌 인천시, 일반 버스·철도 확대는 과제
인천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에 동참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서울시가 내년부터 시행하는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천원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이다. 서울시가 지난 9월 인천시·경기도와 사전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정책을 발표하면서 '반쪽짜리'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수도권은 하나의 생활권으로 엮여있는데,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지역 대중교통에만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우선 인천시는 광역버스 분야에서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다. 인천시가 시범사업에 참여하면, 인천에서 출발해 서울에 도착하는 광역버스를 기후동행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 참여 시기와 방법은 수도권 광역버스 운송기관 등과 협의 후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광역버스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인천시민의 경우 월 1만4천여 명이 매월 최소 3만원 이상의 교통비 부담을 덜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에 참여한다고 해도 서울로 통학·통근하는 인천시민 모두가 혜택을 받는 건 아니다. 또 인천~경기를 대중교통으로 다니는 시민이 기후통행카드 혜택에서 배제되는 것도 풀어야 할 과제다.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서울을 오가는 대중교통 통행량(2021년 기준)은 하루 평균 29만8천건이다. 이 가운데 버스는 3만4천건, 지하철은 26만4천건이다. 또 인천~경기 대중교통 일일 통행량은 버스 7만4천건, 지하철 14만6천건 등 총 22만건이다.

인천시가 대중교통 중 통행량이 적은 광역버스부터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기로 한 주된 이유는 '예산 부담'에 있다.

티머니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서울시의 경우 구체적인 대중교통 수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후동행카드 예산 규모를 추산할 수 있지만, 인천은 구체적인 데이터가 부족하다. 시내버스 준공영제 예산을 비롯해 대중교통 예산으로 연간 3천억원을 집행하는 상황에서, 비용 추산이 어려운 기후동행카드 사업에 추가로 참여할 수 없다는 게 인천시의 이유였다. 인천시가 내년부터 도입할 광역버스 준공영제 역시 부담 요인 중 하나다.

인천시 관계자는 "일반 버스·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산 부담이 적은 광역버스부터 동참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인천시 역시 (내년 하반기 중) 대중교통비 지원 확대에 대한 자체적인 시책을 마련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며 "일반 버스·철도에 대한 부분은 합리적 예산 추계를 바탕으로 인천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검토와 연계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