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건립 주민 설명회 개최
지역내 시설없어 '원정 화장'
공모방식 갈등, 한차례 좌초
인센티브 등 심도 있게 논의

민선 7기 당시 종합장사시설(공설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다 '소통 부재' 등과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혀 백지화를 선언했던 양평군이 이번에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론화 과정을 먼저 거쳐 추진키로 해 그 실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21일 양평군에 따르면 오는 30일 양평생활문화센터 2층 실내공연장에서 '양평군 종합장사시설 건립 주민 설명회'를 개최키로 했다.

설명회에서는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관내 장사시설 건립 기본방향, 시군별 인센티브 및 공모 현황 비교 등이 다뤄질 예정이다. 주민설명회에는 양평군의원 및 각 부서장, 읍·면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군의 화장률은 오는 2045년이면 96.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현재 양평 관내에는 화장시설이 없다. 이에 양평주민들의 43.2%가 강원지역, 37.9%는 경기도 내 타 지역, 11.6%는 서울의 화장시설을 이용하는 등 '원정 화장'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군은 2020년부터 주민 공모방식의 공설화장시설 건립을 추진, 용문면 삼성2리를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 그러나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시작됐고 유치에 나섰던 삼성2리 주민들도 신청했던 부지가 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조상 묘소들이 밀집된 지역으로 바뀌자 한 달여 만에 공모 철회서를 군에 제출, 군은 '소통 부재'란 오명을 쓰고 장사시설 건립을 백지화했다.

하지만 양평지역 주민들의 원정 화장 불편이 계속되자 군은 올해 2월부터 '양평군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 수립연구' 용역을 진행, 장사시설에 대한 군민 인식, 당시 갈등 원인 등을 파악하면서 장사시설 수급계획 재검토에 들어갔다.

이에 군은 2024년 2월을 목표로 공모 방식의 지역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재추진키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인근 지자체의 의향을 검토, 광역화장장 가능성도 열어두기로 했다. 예전의 실패 요인으로 지적됐던 주민 공론화와 인센티브 문제, 인접 주민 소통에 대한 방안도 심도있게 논의(6월16일 인터넷 보도=양평군, 장사시설 설치 검토 '군민 설문 바탕 종합적 의견 듣는다')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주민 홍보가 필요한 사항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게 읍·면별 이장회의 홍보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공모에 들어가면 용역을 통해 법적인 절차를 거쳐 객관적으로 추진위원회에서 선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