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차 사적 사용 등 문제 삼아
재적의원 중 6명 찬성 얻어야
민주 내부 관계 탓, 가결 가능성 제기

광명시의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갈등이 장기화(10월18일자 5면 보도=여야 갈등 길어지는 광명시의회… 협치 실종에 '의장 리더십 부재')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이 안성환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발의하는 등 반격에 나서면서 강대강 대결 구도가 이어지고 있다.
광명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은 22일 시의회에 안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안 의장의 관용차 사적 사용, 리더십 부재 및 정치적 중립성 훼손, 가족·친인척이 주민참여예산위원 참여 등 그동안 논란이 됐던 사례를 모아 불신임 이유로 들었다.
지난 9월 안 의장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던 국민의힘 의원들이 안 의장을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한 이후 2개월 만에 또다시 강제 하자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달 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민의힘 소속 부의장을 부의장 불신임했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 만에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처지가 뒤바뀐 셈이다.
이번 안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 투표는 오는 27일에 열리는 제281회 광명시의회 1차 본의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불신임안이 가결되기 위해서는 참석의원 과반수 이상이 아닌 재적 의원 과반수 이상 과반(6명)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현재 광명시의회의 정당별 의석수는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5명으로, 제척 대상인 안 의장을 제외한 9명이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날 본회의장에서 민주당 소속 의원 4명이 반대표를 던질 경우, 재적 의원 과반의 찬성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국민의힘 의원만으로 불신임안을 통과시키기 어려워 부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안 의장에 대한 민주당 내부의 부정적인 의견도 감지되는 만큼 '100% 부결'을 확신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지역 정가에서는 친명계인 임오경(민·광명갑) 국회의원과 비명계인 양기대(민·광명을) 국회의원의 미묘한 관계에 따른 영향으로 의외의 변수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안 의장은 의장으로 요구되는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하고 도덕성마저 훼손해 불신임안을 발의하게 됐다"며 "특정 정치인을 위한 광명시의회가 아닌 시민들을 위한 광명시의회로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으로 생각해 달라"고 말했다.
광명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은 22일 시의회에 안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안 의장의 관용차 사적 사용, 리더십 부재 및 정치적 중립성 훼손, 가족·친인척이 주민참여예산위원 참여 등 그동안 논란이 됐던 사례를 모아 불신임 이유로 들었다.
지난 9월 안 의장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던 국민의힘 의원들이 안 의장을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한 이후 2개월 만에 또다시 강제 하자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달 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민의힘 소속 부의장을 부의장 불신임했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 만에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처지가 뒤바뀐 셈이다.
이번 안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 투표는 오는 27일에 열리는 제281회 광명시의회 1차 본의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불신임안이 가결되기 위해서는 참석의원 과반수 이상이 아닌 재적 의원 과반수 이상 과반(6명)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현재 광명시의회의 정당별 의석수는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5명으로, 제척 대상인 안 의장을 제외한 9명이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날 본회의장에서 민주당 소속 의원 4명이 반대표를 던질 경우, 재적 의원 과반의 찬성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국민의힘 의원만으로 불신임안을 통과시키기 어려워 부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안 의장에 대한 민주당 내부의 부정적인 의견도 감지되는 만큼 '100% 부결'을 확신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지역 정가에서는 친명계인 임오경(민·광명갑) 국회의원과 비명계인 양기대(민·광명을) 국회의원의 미묘한 관계에 따른 영향으로 의외의 변수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안 의장은 의장으로 요구되는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하고 도덕성마저 훼손해 불신임안을 발의하게 됐다"며 "특정 정치인을 위한 광명시의회가 아닌 시민들을 위한 광명시의회로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으로 생각해 달라"고 말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