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유치 실패' 대국민 사과
민관서 접촉 불구 예측 많이 빗나가
서울·부산 두축 균형발전위한 시도
이번 거점으로 영·호남 발전 '견인'
"정부의 희망 고문" 싸늘한 여론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오전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에 대해 국민께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날 점심시간 직전 예고에 없던 유감 표명으로, 대통령 취임 이후 국민담화 형식으로 사과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오께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모든 것은 제 부족함"이라고 밝혔다. "엑스포 유치를 총지휘하고 책임을 지는 대통령으로서 우리 부산시민을 비롯한 우리 국민 여러분에게 실망시켜드린 것에 대해 정말 죄송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유치에 실패한 원인에 대해 "저 역시도 96개국 정상과 150여차례 만났고, 수십개국 정상들과 직접 전화 통화도 했지만, 민관에서 접촉하며 저희가 느꼈던 입장에 대한 예측이 많이 빗나간 것 같다"며 "이 모든 것은 전부 저의 부족"이라고 거듭 말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 2021년 7월 부산에 가서 2014년부터 엑스포 유치를 위해 정말 애써온 부산 시민의 열망을 목도하고, (당시) 정부에서 지원을 해줬으면 하는 아쉬움과 무관심에 대한 실망감도 느꼈다"며 "대선 과정에서 제가 대통령이 되면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범정부적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드렸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또 "부산엑스포 유치는 단순히 부산만의 발전을 위한 게 아니라 서울과 부산을 두 축으로 균형발전을 통해 비약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시도였다"며 "엑스포 유치는 실패했지만, 이러한 우리나라의 국토균형발전 전략은 그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멀리서 보면 '대한민국' 하면 서울밖에 모른다. 그게 아주 보편적이다. 부산을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이 두 축을 통해 세계에 알리고, 이것을 거점으로 해서 영·호남 지역의 발전을 견인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을 해양, 국제 금융, 첨단산업, 디지털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영·호남 남부지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굳이 서울까지 오지 않더라도 남부 지역에서 부산을 거점으로 모든 경제·산업 활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을 차질 없이 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여론은 싸늘했다. 예고된 유치전의 실패에 대해 정부의 무능으로 국민들에 대한 '희망고문'을 했다는 싸늘한 인식이 주를 이뤘다.
정치권은 위로와 격려를 보냈지만, 인터넷 등에서는 홍보전이 '꼰대'스럽다, '희망고문'이었다는 혹평이 쏟아졌다.
시중에는 이번 엑스포 낙방은 대통령실 최종 보고 라인에 문제가 있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한 여권 인사는 "이번 엑스포 유치전을 보면서 처음부터 어려웠는데 희망고문이 너무 컸다"며 "그래서 국민들의 실망이 더 컸다"고 비난했다.
용산 대통령실 주변에서도 부산 엑스포 유치전에 공을 들인 유관기관 등에 격려와 위로를 보내면서도 대통령실 직보라인의 특정 인사들의 '실책' 등이 SNS로 퍼지면서 논란이 일파만파로 확산됐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