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광역연합' 제언

과거 행정통합서 협력체계 방점
UAM·7호선 급행화 등 과제 선정


인천시가 김포·부천·시흥 등 생활권을 공유하는 인접 도시와 연계해 광역 연합을 구축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인천연구원으로부터 나왔다. 인천시는 '메가 폴리스' 구상을 바탕으로 타 시·도와의 연계협력 방안을 검토할 예정인데, 상생 발전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인천연구원은 최근 인천시의 의뢰로 진행한 '인천 연계도시 간 생활권 현안 발굴 및 강화방안 연구'를 마무리했다. 이번 연구는 인천시의 '인구 610만 도시' 실현을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해 추진됐다.

인천시가 인접 도시와 협력해 광역 생활권을 이뤄야 한다는 의견을 거론한 건 유정복 시장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20년 이학재 국민의힘 인천시당위원장(현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500만 제1광역시 조성'을 내세웠고, 2013년 당시 송영길 인천시장 역시 인구 500만명 규모의 새 광역단체를 조성해야 한다며 '메가 시티' 이론을 펼쳤다.

이들의 구상은 인천·김포·시흥·부천 등 행정구역을 통합하는 걸 전제로 하지만, 유 시장의 메가 폴리스는 도시 간 협력 체계 구축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인천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인천시와 인접 도시간 연계협력사업 총 26개를 발굴했다. 이중 정책화 가능성, 주민 관심도, 파급 기대효과, 시급성 등을 고려해 우선사업(우선 선정과제)를 도출했다. → 표 참조

2024011701000209000020321

우선 선정과제에는 올해 하반기부터 수도권지역 상공을 다닐 UAM(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UAM은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개인용 비행체를 활용한 교통체계로, 일명 '하늘을 나는 택시'로 불린다.

정부는 전남 고흥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에서 UAM 1단계 실증사업을 진행한 데 이어 인천국제공항과 아라뱃길, 한강 등 노선을 대상으로 2단계 실증사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인천연구원은 "UAM은 행정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항로를 개발하는 것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이지만, 정부 실증노선을 제외하면 각 지자체별로 UAM 관련 계획이 수립되고 있다"며 "지자체 간 연계협력을 통해 UAM 노선을 공동 발굴하고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인천연구원은 '7호선 급행열차' 사업 추진 필요성도 언급했다. 인천과 부천 등 연계지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선 인천시와 부천시가 공동 대응해 7호선 급행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밖에 '지역개발의 족쇄'로 여겨지고 있는 '공항 주변 고도제한' 규제를 개선하는 데에도 각 지자체가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시흥시 관계자는 "일부 사업들의 경우 이해관계를 잘 살펴봐야겠지만, 상생발전을 위해 협의하는 건 좋게 생각하고 있다"며 "저희도 인근 지자체와 공통되는 안건이 있으면 당연히 협조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저희도 기존에 서부 수도권 행정협의회 등을 통해 이미 여러 현안은 논의하고 있다"며 "최근엔 여러 지자체가 공동으로 논의·대응하는 게 많아지는 추세인데, 그런 기회가 늘어나는 점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