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7석 비례대표 선거제 놓고 '수싸움'


기자회견문 명단 '넣다·뺐다' 예민
실익 '병립형' 진보진영 분열 야기
수도권 지역구 패배 가능성도 나와
연동형, 당선자 많아 비례에선 손해
'비례대표용 연합정당' 아이디어도


발언하는_이재명_대표.jpg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재환영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4 / 연합뉴스

4·10 총선이 'D-73일' 앞으로 다가왔으나 총 47명의 의석이 걸린 비례대표 선거제도를 결정하지 못한 채 혼란을 초래하는 등 표류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는 주장과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회귀하자는 주장이 맞서 갈팡질팡하는 사이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의 결단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다른 야당도 민주당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 편집자 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오는 4월 총선에 적용할 비례대표 선거제 개편 방향을 결단해야 할 시점이 임박했다. 여전히 당내 이견은 팽팽하지만, 늦어도 2월 초에는 선거제 방향을 당내에서 결론내야 향후 논의를 이어갈 수 있어서다.

현재 민주당은 선거제 개편 방향을 두고 반으로 갈라진 상황이다. 지난 26일 민주당 의원 80명은 입장문을 내고 "병립형 퇴행은 '악수(惡手) 중의 악수'"라며 연동형 선거제도 도입을 촉구했고, 이날 발표에 동참하지 않은 84명 의원들은 '판단 유보' 중이거나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입장이 기운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비례제 개편 방향을 두고 기자회견문 의원 명단에 이름을 넣었다 삭제를 요청하거나 도중에 합류를 요청하는 상황이 기자회견 중 발생할 정도로 당내 의견은 첨예하다. 다만 의원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이번 선거제 방향의 이견은 친명과 비명의 대립 양상은 아니라는 의견이 다수다.

이런 상황에서 '키(key)'를 쥔 이재명 대표는 최고위원들과 비공식 간담회를 하며 의견을 듣고 있지만, 쉽게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심의 이유는 실익만 본다면 병립형으로 돌아가는 것이 맞지만, 이 경우 진보 진영 분열이 야기될 수 있고 수도권 지역구 패배 가능성도 나와서다. 반면 연동형으로 간다면 민주당은 지역구 당선자가 많이 나오는 상황이라 비례에서 손해를 볼 수 있다. 의석수로 보면 민주당은 병립형이 유리하다.

이에 최근 당 지도부 내에선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를 도입하거나, 연동형을 유지하되 진보계열 소수 정당이 함께 하는 '비례대표용 연합정당' 구성으로 의석을 확보하는 등의 아이디어도 나온다. 어느 한 쪽을 택하는 것이 아닌 절충안을 만들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기겠다는 취지다.

고심은 깊지만, 당내에서는 이 대표가 조만간 결단을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박주민 원내수석부대표는 라디오에서 "결정을 미루겠다는 건 아니지만, 전례를 보니 외국 유권자들이 등록하는 2월 20일쯤이 나름대로 데드라인이었다"며 "개인적으로는 2월 초에는 결정이 나야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