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위 조정안 과정일뿐 무효 주장
'U'자형 추가 협상 여지 충분 입장

인천시가 '원당사거리'(원당역) '불로동'(불로역) 등 인천 구간 정거장 2개가 빠진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의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선 조정안에 합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은 1일 기자간담회에서 "서울 5호선 연장 노선 변경은 지자체 간 합의를 통해 결정하게 돼 있고, 대광위 조정안은 중간 과정이기 때문에 효력이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서울 5호선 검단·김포 연장사업은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검토사업으로 반영되면서 '노선계획 및 차량기지 등 관련 시설에 대한 지자체 간 합의 시 타당성 분석을 거쳐 추진한다'는 전제조건이 달렸다. 인천시의 합의가 없으면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인천시 판단이다.
대광위는 최종 노선안을 오는 5월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하겠다고 했지만 인천시는 시한 내 노선 합의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냈다. 김 국장은 "2월에 많은 시민이 의견을 제시할 텐데 물리적으로 3개월 내 정리가 되겠느냐"며 "5월까지는 3개월밖에 안 남았는데 (그 기간에) 현실적으로 (노선 합의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추가 협상 여지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앞서 김포시는 대광위에 서울 5호선의 통진읍(마송역) 추가 연장을 제안했고, 김포경찰서 인근 추가역을 추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광위 조정안에 당초 김포시가 반대했던 검단신도시 내 정거장 2개(인천 1호선 검단 연장선 101·102역)가 반영되면서, 인천시 'U'자형 노선안과 형태가 유사한 'V'자형 노선이 유지됐다. 대광위가 제시한 노선형태가 김포시의 '직선'형보다 인천시 'U'자형에 가까워 검단신도시 내 정거장 2곳 사이에 원당역을 추가하기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김 국장은 "정거장 숫자로만 보면 김포 7곳, 인천 2곳이지만, 노선이 101역까지 내려왔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며 "101역에서 원당을 거치지 않고 바로 올라가는 노선은 인천지하철 1호선 검단 연장 노선과 같다. 이곳이 (인천 1호선과 서울 5호선이 겹쳐야 할 정도로) 종로나 강남처럼 수요가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