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경기도가 도와주지 않아"
뜬금없는 책임론에 道 유감 표명
오세훈 서울시장이 "기후동행카드에 경기도가 참여하지 않아 도와주지 않는 것"이라며 경기도에 책임을 물은 데 대해(2월22일자 3면보도=행정구역 개편·교통정책… 경기-서울 갈등 증폭) 경기도는 기자회견을 자청해 "서울시가 경기도내 지자체들에 참여를 종용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뜬금없는 서울시의 책임론에 경기도가 적극 반박에 나서며, 교통카드 정책을 둔 양측의 갈등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22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 시장의 발언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 경기도의 교통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황당할 뿐"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오 시장은 지난달 수도권 공동 기자회견 발표 내용과 달리 경기도에 불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경기도는 그동안의 의견을 바탕으로 경기도 교통 특성에 가장 적합한 '더(THE) 경기패스'를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1일 오 시장은 서울시의회 시정질의에서 기후동행카드의 경기도 지자체 참여에 관한 질문을 받자 "서울시 예산까지 써가며 경기도 지자체에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오픈했는데 요청 들어온 곳이 당적이 같은 곳 밖에 없었다"며 "사실상 경기도에서 도와주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는 오 시장의 발언이 지난달 22일 '국토부·수도권 지자체 합동 기자설명회'에서 오 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유정복 인천시장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교통정책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던 내용과 다르다며 비판하고 나선 것이다.
이날 김 국장은 "정책이 정치가 되어선 안 되고, 될 수도 없다"며 오 시장을 직격한 후 "경기도는 기후동행카드로 도내 모든 지자체가 혜택을 보지 못한다고 생각해 더 경기패스를 도입했다"고 부연했다.
다만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도내 지자체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는 자율적 판단에 맡기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천원에 서울시내의 지하철과 서울 면허 시내·마을버스 및 따릉이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액권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경기도에서 발표한 더 경기패스(5월 시행)는 국토교통부의 'K패스'에 경기도만 제공하는 혜택을 더한 것으로,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환급제라는 특징을 가진다.
더 경기패스는 경기도민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일반 도민은 교통비의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를 돌려받을 수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