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 노동문학관, 내달 1일 ‘제3회 노동예술제’ 개최

홍범도 장군 흉상 제막, 효봉윤기정문학상 진행

내달 31일까지 정세훈 문학관장 홍매화 전시도

노동문학관에 건립된 ‘홍범도 장군 흉상’. /노동문학관 제공

노동문학관에 건립된 ‘홍범도 장군 흉상’. /노동문학관 제공

충남 홍성 광천읍에 있는 노동문학관이 노동절인 내달 1일 ‘제3회 노동예술제’를 개최한다.

올해 노동예술제 주제는 ‘홍매화마저 아프다 하네’다. 행사는 오후 2시 문학관 ‘홍범도 장군 흉상’ 제막식, ‘제3회 효봉 윤기정 문학상’ 시상식, 노동문학관장인 정세훈 시인의 홍매화 전시회 초대식 순서로 진행할 예정이다.

노동문학관은 지난달 말 시민 모금을 통해 ‘홍범도 장군 흉상’을 건립했다. 정세훈 문학관장은 “홍범도 장군은 일제강점기 구국 해방 전선의 최고봉 독립투사”라며 “청소년기 머슴, 공장, 광산, 사냥 노동자로 노동의 참된 가치와 얼을 실천하고 전해준 진정한 노동자”라고 말했다.

이어 “175명의 개인과 단체가 건립에 동참했으며, 열악한 재정에도 흉상을 건립할 수 있었던 것은 후원자들과 흉상을 제작한 박주부 조각가 덕분”이라고 했다.

‘효봉 윤기정 문학상’은 일제강점기 활동한 소설가이자 비평가인 카프 초대서기장 효봉 윤기정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미국 재단법인 효봉재단이 주관하고, 노동문학관이 주최한다. 제3회 수상자로는 성희직 시인이 선정됐다. 성희직 시인은 시집 ‘광부의 하늘이 무너졌다’에서 갱도 막장에서조차 버림받고 진폐 등 직업병에 시달리며 핍진하게 살아가는 전직 광부 등 노동자의 삶을 심도 있게 담아 냈다는 평가다.

노동문학관 홍매화 전시 포스터. /노동문학관 제공

노동문학관 홍매화 전시 포스터. /노동문학관 제공

정세훈 문학관장이 그린 홍매화 40여 점을 선보이는 전시도 마련됐다. 정 관장은 소시민·노동자·민중의 아픔을 홍매화에 녹여 냈다고 설명했다. 홍매화 전시는 내달 31일까지다.

노동시인으로 널리 알려진 정세훈 문학관장은 인천작가회의 회장, 박영근시인시비건립위원회 위원장, 인천민예총 이사장, 한국작가회의 이사 등을 지냈으며 인천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경인일보 포토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박경호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