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지역 노동단체가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의 만성적인 결원 문제를 해결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6일 경기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경기도교육청 수원 남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의 만성적인 결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치기준 조정 등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3월 기준 도내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는 394명이 미달 상태다. 이는 조리실무사 전체 정원(1만1천819명)의 3.3%에 달하는 수치다. 도교육청이 학교 급식실의 만성적인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원을 일부 늘리는(360명)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급식실의 채용정원 미달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에 연대회의는 “급식실은 단시간에 고강도로 일하는 구조인 탓에 사람이 잘 충원되지 않고, 와도 금방 관두고 있다”며 “새 학기가 한 달가량 지난 시점인데 노조를 통해 퇴사의사를 밝힌 사람이 100여명에 달한다. 중도퇴사자가 늘고 있어 남은 급식실 노동자들의 노동강도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 참여자 2천626명 중 2천425명(92.3%)이 업무수행을 위해 진통제나 근육이완제를 복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중에서 한 달에 1~3회 복용하는 사람이 1천36명으로 가장 많았고, 매일 먹는다는 사람도 361명(13.7%)에 달했다.
조아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경기지부 법규국장은 “배치기준이 조정된 곳에서 노동강도 역시 완화됐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있다. 노동강도가 완화되면 근속이 늘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도교육청은 결원을 채우기 위해 추가채용만 반복할 게 아니라, 배치기준을 조정하고 방학 무임금 문제를 해결하는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