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상징물 능소화·백로·버드나무로 변경

의정부시의 시화(市花), 시조(市鳥), 시목(市木)이 능소화, 백로, 버드나무로 각각 변경됐다. 바뀐 시 상징물을 소개하는 안내문.  /의정부시 제공

의정부시의 시화(市花), 시조(市鳥), 시목(市木)이 능소화, 백로, 버드나무로 각각 변경됐다. 바뀐 시 상징물을 소개하는 안내문. /의정부시 제공

의정부시의 시화(市花), 시조(市鳥), 시목(市木)이 능소화, 백로, 버드나무로 각각 변경됐다.

시는 도시 정체성 확립과 위상 제고를 위해 상징물을 전면 개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아울러 마스코트도 2000년 지정된 구(舊) 의돌이에서 2022년 리뉴얼한 새로운 ‘의돌이’와 2021년 개발한 여성캐릭터 ‘랑이’로 변경했다.

시는 지난해 시 승격 60주년을 맞아 2차례 시민 대상 설문조사를 벌인 뒤 전문가 및 시민대표 자문과 관련 조례 개정을 거쳐 상징물을 바꿨다.

종전 상징물들은 1970년대 전국 지자체가 획일적으로 지정할 때 함께 지정돼 의정부만의 고유성과 차별성이 없었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종전 시조였던 비둘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새로 바뀐 시화 능소화는 과거 장원 급제자에게 임금이 내리던 어사화로서 일명 양반 꽃으로도 불린다. 조선시대 최고 의결기관인 의정부와 선진 행정을 주도하는 의정부시의 지명 유래와 일맥상통한다. ‘하늘(한계)을 넘어선다’는 뜻의 꽃 이름 또한 시의 무한한 발전 가능성도 나타낸다고 시는 설명했다.

백로는 1급 환경에만 거주하는 새로, 고결하고 단아한 선비의 인격을 상징한다. 본래 여름 철새지만 현재는 의정부 유역에 정착해 겨울 텃새로 변했다. 이는 각지에서 모여 의정부에 정착해 하나된 모습으로 통합되는 시민들의 모습과 닮았다.

버드나무는 의정부시에서 가장 오래된 지명으로 약 1천 년간 불려온 ‘녹양(楊:버들 양)’에서 따왔다. ‘녹양’이라는 지명은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돼 있을 만큼 시의 고유성과 역사성을 띄고 있는 대표적인 수목이다.

시는 개정된 상징물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식목일에는 버드나무와 능소화를 심는 등 상징물이 시민의 생활과 밀접하게 공존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경인일보 포토

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김도란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