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 마켓 주민휴식처로 활용… 역사적 가치도 충분히 살려야"

입력 2024-05-27 20:29 수정 2024-05-27 20:36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5-28 3면

'시민참여단' 설문조사 결과

'역사 중요' 숙의과정서 비율 줄어
국가유산청 등 보존 가치 '우수'
역사문화생태공원 조성 목소리도


ㅊㅌㅊㅌ티ㅣ.jpg
인천시민참여단 설문결과, 캠프마켓을 주민휴식처로 활용해야한다는 여론이 많았다. /경인일보DB

인천 부평 미군기지 '캠프 마켓'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무기제조공장에서 한국전쟁 이후 주한미군 물류 보급기지로 활용되는 등 역사적 장소로서 의미가 크지만, 지역사회에서는 녹지 공간을 확대한 주민 휴식처로서 활용 계획을 집중해달라는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캠프 마켓 활용 계획을 논의하는 시민공론화 기구 '시민참여단'(216명)은 지난달 캠프 마켓 조성 시 우선돼야 할 공간 가치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96.1%가 '녹지 및 여가 공간으로서 가치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문가 발표, 이해관계자 토론, 질의응답 전후로 두 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토론·질의응답이 이뤄지기 전에는 시민참여단 중 95.2%가 녹지 및 여가 공간의 가치가 중요하다고 한 데 이어 숙의과정이 끝난 뒤 진행한 두 번째 설문조사에서는 응답 비율이 0.9%p 더 높아졌다.



반면 캠프 마켓의 '역사적 공간으로서 가치가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당초 80.7%에서 숙의 과정을 거치면서 46.9%로 낮아졌다.

시민참여단의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시가 캠프 마켓 관련 사업 추진 시 '녹지 및 여가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가치보다 우선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의 정책권고안이 도출됐다.

시민참여단 구성·운영을 맡은 '시민공론화추진단' 위원 이단비(국·부평구3) 인천시의원은 구도심의 부족한 녹지·여가 공간 탓에 주민들의 공원 수요가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주민들에게는 도심 속 휴식처가 필요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역사적 공간 조성에 대한 관심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단비 의원은 "캠프 마켓 일대를 생활권으로 하는 주민들은 인근에 산책할 공간이 부족하다고 토로한다"며 "특히 산곡동은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데, 노인복지시설이나 공원이 턱없이 부족해 쉴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달라는 요구가 많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캠프 마켓의 역사적 가치를 주민 편의에 우선해 적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팽팽하다. 당초 취지에 맞춰 캠프 마켓이 역사문화생태공원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의미다. 앞서 국가유산청과 동북아역사재단 등은 캠프 마켓 내 역사건축물이 일제의 침략 전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역사적 의의가 크기 때문에 보존·활용 가치가 높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캠프 마켓 시민참여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는 김재용 변호사는 "캠프 마켓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당시 역사적 배경을 한곳에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주민 수요를 반영하면서 역사적 가치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박현주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