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미술관

현실에 판타지 한 스푼 '혼돈의 한국사회' [경기도&미술관·(9)]

입력 2024-05-29 19:30 수정 2024-06-09 20:43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5-30 15면

이흥덕의 '바나나 카페'


1993년作… 1990년대 관통한 '카페' 연작
폐쇄성·양면성 표현… 그 시절 풍경 녹여

이흥덕, 바나나 카페
이흥덕 作 '바나나 카페'. /경기도미술관 제공

이흥덕의 '카페' 연작은 1987년 <카페>에서 시작해서 1990년대를 내내 관통하다가 1999년에 <빈 카페Ⅰ·Ⅱ>로 이어졌고, <사비나 카페>(2003)로 막을 내렸다. 1987년부터 1993년까지 17점을 그렸는데, 가장 많이 그린 시기다. 그 중 <바나나 카페>는 1993년 작품이다.

그에게 '카페' 연작은 단순히 커피와 술을 마시는 공간이 아니라, '카페' 밖의 세상을 적나라하게 투영시키는 마술의 '유리구슬'이다. 이 유리구슬에 비친 '카페'는 사람들이 이루지 못한 꿈과 비루한 현실, 날것의 현실에서 벗어난 '비현실', 현실을 월경해 버린 '초현실'이다. 끝없는 욕망의 판타지다. 그는 이 뒤범벅의 현실을 고스란히 화면에 심었다.

'카페' 연작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는 '만남'을 매개하는 카페 공간의 폐쇄성이고, 둘째는 낮과 밤에 따라 이율배반의 양태를 보이는 양면성이다. 셋째는 현실과 혼합된 신화와 판타지를 통해 혼돈의 한국 사회에 대한 미래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카페'는 화면 내부에서조차 벽으로 둘러쳐져 있고, 당시 카페들이 대부분 지하 공간을 활용했던 것을 상기시키듯 오직 조명에 의해서만 그 육감적 신체를 드러내고 있다. 한국의 1980년대 도시 카페란 유럽의 로드(Road) 카페들처럼 커피향과 예술적 향취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카페의 양면성은 그 공간이 지닌 특이성 때문일 수 있다. 카페는 점심시간을 전후해 문을 열어 밤늦게까지 영업했다. 낮에는 주로 비즈니스맨들의 미팅 타임이 많았고,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커피와 음료를 소비했다. 이들은 말쑥한 검은 양복과 넥타이, 007가방을 들었거나 간편한 와이셔츠 차림이었다. 그러나 퇴근시간을 넘기면 맥주와 고급 양주가 메뉴로 올라오고, 여종업원들도 성의 뮤즈로 둔갑했다.

시인 황지우가 1980년대를 "죽음과 절망으로 가득 찬 공간이자 초월해보고 싶은 환멸의 공간"으로 인식한 후 "폭압적 현실에 대한 극도의 좌절감을 풍자라는 수법"으로 새겼듯이 이흥덕의 작품도 이러한 의미의 맥락에서 멀지 않다. 이들의 시어와 화어(畵語)는 동일적 정체를 가장한 쌍둥이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이흥덕의 '카페'는 그 시대의 민화적 풍경화인 것이다.

/김종길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팀장

2024053001000317500031032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