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 사회구조 분야 참여대학 선정

입력 2024-06-03 16:33 수정 2024-06-03 16:34
단국대 SW·디자인 융합센터에서 열린 디자인싱킹 수업 장면/단국대 제공

단국대 SW·디자인 융합센터에서 열린 디자인싱킹 수업 장면/단국대 제공

단국대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HUSS)’의 사회구조 분야 참여대학으로 선정됐다.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은 대학 내 대학 간 공유 협력을 통해 인문사회 중심의 융합교육체제를 구축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단국대는 지난해 글로벌·문화 분야 주관대학으로 선정된 데 이어 사회구조 분야 참여대학으로 선정되며 인문사회 분야 융합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단국대가 참여하는 ‘상생 공동체 구축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 컨소시엄에는 서강대(주관대학), 상명대, 대전대, 원광대가 참여한다. ‘공동체의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통한 사회구조 변화 대응’을 주요 과제로 3년간 86억여 원을 지원받아 인문사회 중심의 융합 교육 과정 개발·운영, 교육 기반 개선, 학사제도 개편 등을 추진한다.

사업에는 5개 대학에서 117명의 교원과 32개 학과가 참여하며, 단국대는 정치외교학과, 상담학과, 행정학과, 도시계획부동산학부, 사학과, 철학과, 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등 5개 학과가 참여한다.

컨소시엄은 인문학적 통찰 능력, 사회문제 분석력, 문화콘텐츠 생산능력, AI・빅데이터 활용능력을 두루 갖춘 화합형 리더(Community Innovator) 5천명을 양성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교감력(Interaction) ▲통찰력(Insight) ▲혁신력(Innovation) ▲실행력(Involvement)의 4개 핵심역량을 갖춘 ‘4I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분석가(Analyst) ▲창작자(Creator) ▲전략가(Strategist) ▲실천가(Practitioner) 등 4개 진로트랙 모듈화 교육과정을 구축한다. 현장 중심의 실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도 강화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또한 마이크로러닝, 숏폼콘텐츠, 텔레프레즌스 강의, 리빙랩 프로젝트, 코호트 러닝 등 같은 혁신적인 교육모델을 신설하고 LMS(학습관리시스템), AI 시험시스템, AI 진로 코칭 등을 포함한 Echo통합 플랫폼을 신설해 컨소시엄 참여대학 간 인프라를 공유할 예정이다.

유현실 단국대 상담학과 교수는 “다양한 학문이 융합된 교육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겠다”며 “특히 4I 핵심역량을 갖춘 융합인재를 양성하여 미래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단국대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3개 분야(바이오헬스, 차세대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부장)와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 2개 분야(글로벌·문화, 사회구조)에 선정되는 등 첨단분야와 인문사회 분야를 아우르는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경인일보 포토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

조영상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