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공의회] 김포시의회 '자원순환 정책개발 연구회'

입력 2024-06-12 19:40 수정 2024-06-12 19:41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6-13 5면

매립지 종료… '발등에 불' 탄소중립 고심중


신도시 '윤곽' 소각장 확충 절실
업사이클 논의… 전국 벤치마킹
연말께 지역실정 맞춰 정책 제안


김포시의회 연구모임
김포시의회 '자원순환 정책개발 연구회' 김현주 대표의원(가운데)과 동료의원들이 지역 폐기물처리 이슈와 관련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김포시의회 제공

수도권매립지 종료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지역에서 폐기되는 자원의 효율적이고 이로운 순환을 연구하는 시의원들의 모임이 주목받고 있다. 김포시의회 김현주 의원을 대표로 유영숙·한종우·권민찬 의원이 참여하는 '김포시 자원순환 정책개발 연구회'다.

지난 2012년부터 이미 하루 84t 처리규모의 소각시설을 마산동 신도시에서 운영해오던 김포시는 현재 고양시와 함께 사용하게 될 광역 자원회수센터(소각장) 건립 후보지를 3곳으로 압축하고 절차를 진행 중이다.



파주 광역환경관리센터에 하루 80t 처리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t당 37만원(수도권매립지는 7만5천원)이라는 고비용 탓에 그동안 지분의 3분의 1 정도만 반출해오던 김포는 최근 국토교통부의 4만6천세대 신도시와 환경부의 6조원 규모 신성장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속속 윤곽을 드러내면서 자체 소각시설 확충이 절실해졌다.

자원순환정책개발연구회는 이 같은 지역 여건을 정확히 진단하고 시대적 과제를 극복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출범했다. 소각시설뿐 아니라 업사이클과 크린넷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다.

김 대표의원은 "내 주변의 자원순환 문제를 지금부터 고민하지 않는다면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며 "순환경제와 탄소중립은 피할 수 없는 혁신과제이기 때문에 김포지역 실정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했다"고 모임 취지를 설명했다.

연구회는 올해 2월 정식 등록한 이래 서울 양천구의 스마트분리수거 시스템과 영등포구의 자원순환 '쓰다점빵', 또 자원순환 거버넌스 및 통합 바이오가스화시설 사례를 먼저 공부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광명시 자원회수시설과 아산시 환경과학공원을 벤치마킹하고 왔다. 현지 방문에서 이들은 소각열 판매수익 모델, 투명행정을 통한 주민갈등 해소, 폐열을 이용한 주민복지 창출 현황을 눈여겨봤다.

김 의원은 "아산 환경과학공원의 경우 하루 200t 처리규모 자원회수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수영장·목욕탕·찜질방 운영과 생태곤충원·마을세탁공장 열원에 사용하고 인근 공장에 스팀을 판매해 연간 30억~40억원의 수익을 내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연구회는 오는 8~9월 추가 벤치마킹을 다녀온 뒤 김포에 접목하는 방안을 도출, 연말쯤 시 집행부에 정책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김 의원은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제도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2024061301000122700012472



경인일보 포토

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김우성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