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조2천억 확보… 목표액의 70% 달성 [김동연의 경기도 민선 8기 중간 점검·(4)]

입력 2024-06-12 20:41 수정 2024-06-12 20:45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6-13 3면

김동연 지사의 투자유치 실적은


임기내 100조 이상 순조롭게 진행
벤처투자 'G-펀드' 5468억원 모아


경기도_g-펀드_조성_및_투자활성화_업무협약식.jpg
지난해 2월 23일 오후 성남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창업라운지에서 열린 경기도 G-펀드 조성 및 투자활성화 업무협약식에서 김동연 도지사와 협약 당사자들과 도의원, 벤처캐피탈 및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기념촬영 하고 있다.2023.2.23/경기도 제공

민선 8기 경기도는 해외로 향했다. 임기 내 100조원 이상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목표대로 순조롭게 투자 유치 활동이 진행됐다.

경기도 집계로는 지난 2022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69조2천억원의 투자가 유치됐다. 임기 절반을 지나며 목표 투자액의 70%를 달성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비메모리 전력반도체 분야 세계 2위인 미국 온세미가 김 지사 취임 직후 투자 협약을 맺었다. 지난해 1월에는 미국 린데가 평택 생산공장 증액 투자, 지난해 2월에는 이차전지 신소재기업 그리너지가 여주에 신사업 기지 구축을 시작했다.



첨단 반도체 공정장비 제조기업 에이에스엠(ASM)의 화성 투자, 자동차 부품기업인 독일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Vitesco Technologies)의 이천 투자 등도 이뤄냈다.

김 지사는 지난 5월 북미 방문 중 해외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해 미국 현지에 있는 김 지사와 미국 본사, 상하이에 있는 아시아 총괄 대표, 한국 대표가 참여하는 두 번에 걸친 화상회의에 참여했다.

그 결과 해당 기업은 10억 달러의 대규모 투자 의향을 밝혔다. 김 지사의 노력이 실제 결과로 이어진 장면이다.

민선 8기 경기도의 가장 큰 투자는 평택 고덕, 용인 원삼·남사를 연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이뤄지고 있다. 현재 조성 중인 이곳에 26조의 투자가 이뤄져 경기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경기도는 벤처투자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도내 중소·벤처기업의 투자 기회를 넓히기 위해 조성한 'G-펀드'에는 5월 기준 5천468억 원이 모였다. 사회적경제조직을 대상으로 한 '경기임팩트 펀드'도 278억원 규모로 조성해 운용된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2024061301000130600013301



경인일보 포토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신지영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