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지 없다면 내가 키우지 뭐… 신간 '젊치인을 키우고 있습니다'

입력 2024-06-13 19:01 수정 2024-06-13 19:32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6-14 11면

'젊치인' 양성 취지는 국회의 다양성
정치 불문율 타파, 두 여성 고군분투
체념 맞선 '직접 개발' 궁금증 자아내



ㄴㅁㄴㅁㅇㅇㄴㅁㅇㄴㅁ.jpg
지난 4월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정치 스타트업이자 비영리단체 ‘뉴웨이즈’가 정치인에게 커피차를 보내며 ‘역공약’을 펼쳤다. 유권자들의 요구를 취합하고 전문적으로 분석해 공약을 만들었다. /뉴웨이즈 유튜브 채널 캡처

■ 젊치인을 키우고 있습니다┃뉴웨이즈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368쪽. 1만9천원


젊치인을 키우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제22대 총선을 앞둔 어느 날. 드라마 촬영장이 아닌 길거리 한복판에 커피차가 등장했다. 어느 연예인의 팬덤이 조공 차원에서 보냈을까 싶지만, 고객은 배우가 아닌 '정치인'. 곧이어 커피차에서 내린 사람들이 정치인에게 '역공약'을 내거는 신풍경이 펼쳐진다. "최애 대신 정치인에게 커피차를 쐈습니다. 공약을 받아가실 분."

이들의 정체는 비영리단체 '뉴웨이즈'다. 뉴웨이즈라는 이름이 익숙한 2030세대도 많다. 그도 그럴 것이 뉴웨이즈가 내세우는 주요 키워드는 다름 아닌 '젊치인'이다. 말 그대로 젊은 정치인을 입법부로 보내는 것이다. 단순히 만 39세 이하 정치인을 양성하려는 목적이라기보다는 국회 안에 다양성을 높이려는 취지다. 정치인은 '고소득자, 전문직, 50대 이상 남성'이라는 불문율을 깨보자는 발칙한 시도다.



신간 '젊치인을 키우고 있습니다'에서는 이런 신개념 정치 에이전시이자 스타트업인 뉴웨이즈의 성장과정을 엿볼 수 있다. 박혜민과 곽민해, 뉴웨이즈를 설립한 두 젊은 여성은 일상과 무관하다고 여겨지는 정치 지형 자체를 바꾸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책에는 뉴웨이즈가 '젊치인'이라는 용어를 만든 목적, 2030세대 유권자를 사로잡기 위한 긴 고민 등이 담겼다.

 

2024061401000148200015102

정당이 아닌 일종의 에이전시를 표방하는 '뉴웨이즈'는 특정한 이념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그저 좋은 공약으로 무장한 '젊치인'을 어떻게 하면 잘 키워 제도권에 안착시킬지를 고민할 뿐이다. 눈에 띄는 성과도 냈다. 지난 2022년 제8회 지방선거에서 138명의 후보자와 40명의 당선자를 배출해냈다. 비율로 따지자면 당시 지방선거 당선자의 10%가량이 뉴웨이즈 '젊치인' 출신이었다.

책은 정치 혐오가 난무하는 시대, 한국 사회 '20대 무당(無黨)' 현상(6월7일 인터넷 보도=말을 잃은 자, 말이 없는자, 우리는 무당입니다 [20대 무당(無黨)을 찾아서·(1)])의 실마리를 보여주기도 한다. 정치·사회적 발언을 꺼리고,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절반가량의 20대. 이런 문제적인 정체성은 알고 보면 이들을 위한 다양한 정치적 선택지와 건강한 공론장이 없는 데서 탄생했다.

이들은 다양한 선택지를 유권자에게 안겨줄 공약을 개발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뉴스레터 등으로 보기 좋게 정리해 알려준다. 정치적 선택지가 없다고 체념하는 게 아니라 없으면 당사자들이 개발하면 된다는 마인드다.

두 명의 저자는 "그래서 더 많은 동료 유권자가 필요하다. 뉴웨이즈가 싸우는 건 단순히 기득권 정치인이 아니라 '정치는 원래 그런 거'라는 비판이자 체념, 아니면 무관심이다. 정치는 물론 쉽게 바뀌지는 않지만 바꾸라고 요구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고 말한다.

정치 혐오와 무관심에 맞서 한국 정치판에 갑자기 등장한 신선한 도전이자 새로운 물결이 과연 어디까지 흐를지 상상하며 책을 덮게 된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

유혜연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