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창업기업 절반, 채 3년도 못 버틴다

입력 2024-06-23 19:41 수정 2024-06-24 10:37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6-24 13면

3년 생존율 45.2% 전국하위권
'4년이상 운영' 투자비용 회수
서비스업 쏠려 외부요인 취약

 

news-p.v1_.20240622_.718b347f9057443aa97fcaf6bc1dd6e2_p1_.jpg
사진은 배달 주문 음식을 만들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인천지역 창업기업(서비스업 포함)의 생존율이 전국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창업 비용을 회수하려면 통상 4년 이상 기업을 운영해야 하지만, 3년을 넘기지 못하는 경우가 절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 연수구에서 디저트 가게를 운영하던 A(47)씨는 지난달 가게 문을 닫았다. 2년 전 40㎡(12평) 규모의 점포를 얻어 포장과 배달 위주로 사업을 했지만, 코로나19가 끝나고 주변에 프랜차이즈 카페 등이 많이 들어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매출도 하락했기 때문이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의 '신생기업 생존율' 통계자료를 보면, 2022년 기준 인천지역 기업의 3년 생존율은 45.2%, 4년 생존율은 38.5%로 나타났다. 3년 생존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42.8%)과 제주(44.5%)에 이어 3번째로 낮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창업에 나선 개인 사업자와 법인이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려면 통상 4년 이상 기업을 운영해야 하는데, 절반 이상이 3년을 넘기지 못하는 상황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조사한 '2023년 상가건물임대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창업투자금 회수 기간은 평균 3년 6개월로 나타났다. 또 실태조사에 응한 인천지역의 개인사업자·법인 10만6천282곳 가운데 57%가 투자금을 회수했다고 응답해 전국 평균(64.3%)보다 7.3%p 낮았다. 반면 창업 비용은 인천지역이 1억258만원으로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다.

인천의 주요 창업 업종이 장기간 경영을 이어가기 어려운 서비스업 위주로 쏠려 있어 기업 생존율이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면복 전 인천지식재산센터장은 "자생력과 경쟁력이 높은 기술 기반 창업기업이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을 수밖에 없는데, 인천은 서비스 분야 창업으로 쏠려 있다"며 "서비스 업종은 경쟁이 심하고, 물가와 금리 등 외부 요인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지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한달수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