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건축기행

[팔도건축기행·(13)] 강물이 '위로'… 고개를 들어요 '여수 GS칼텍스 예울마루'

입력 2024-06-24 20:16 수정 2024-06-24 21:32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6-25 11면

GS칼텍스-여수시가 조성한 복합문화예술 공간

땅 재단하는 프랑스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 설계
폭 21m·길이 152m 달하는 푸른 유리지붕 압권
망마산 정상서 계곡을 따라 물 흐르는 모습 연상
수준 높은 전시·공연 진행… 시민 문화욕구 충족


2024062501000257400026432
/클립아트코리아


2024062501000257400026435

"유리의 강(Glass River)을 만들자."



현장을 방문한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는 여수 망마산과 장도를 직접 걷고, 행정선에 올라 바다에서 현장을 바라본 후 떠오른 콘셉트 디자인을 거침없이 그려냈다.

망마산 정상에서 계곡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는 모습을 연상시키는 폭 21m와 길이 152m에 달하는 푸른 유리지붕(Glass River)은 GS칼텍스 예울마루(이하 예울마루)의 상징이 됐다.

산과 바다와 섬이 만나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그 안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건축물은 서로 순응하며 아름다운 풍광을 만들어낸다.

2024062501000257400026436

■ 자연과 하나 된 친환경 건축

예울마루는 시민 삶의 질 향상과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도시에 걸맞은 문화예술 인프라 구축을 위해 GS칼텍스가 여수시와 함께 여수시 망마산과 장도 일원의 약 70만㎡(21만여 평) 부지 위에 조성한 복합문화예술 공간이다.

2007년 여수 시민 대표와 전문가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조성사업은 2021년 망마산 전망대 및 산책로 조성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10여년의 대장정이 마무리돼 '완전한 모습'을 드러냈다. 1단계인 망마산 기슭의 주공연장은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에 맞춰 개관했고, 예술가들의 창작스튜디오와 전시장, 카페, 교육실 등으로 이루어진 2단계 예술의 섬 장도사업은 2019년 완공됐다.

프랑스국립도서관(미테랑 도서관), 독일 베를린올림픽 수영장,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공연장을 설계한 프랑스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는 '땅을 재단하는 건축가'로 불린다.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감각적이고 예술적인 디자인을 지향하는 그는 특정 건축스타일을 고집하지 않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고려한 독창적인 설계로 이름이 높다. 특히 주요 시설물을 땅속으로 집어넣는 것이 특징으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이화여대 이화캠퍼스 센터(ECC)가 대표적이다.

페로는 예울마루를 설계하며 산과 바다가 어우러지는 '하나의 큰 산책로'(Promenade)를 염두에 뒀다. 망마산 정상 전망대부터 공연장, 진섬다리, 바다 건너 장도 전시장까지 그가 구성한 산책길은 약 2㎞에 달한다. 흐르는 강물을 형상화한 유리지붕(Glass River), 환경친화(Eco friendly)적 건물은 그가 자연과 공존을 꾀한 또 하나의 콘셉트였다.

여수 GS칼텍스 예울마루
예울마루 전경. /예울마루 제공

산의 경사면을 최대 40m 깊이로 파내고 지은 예울마루는 주변 환경과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고 망마산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물의 주요 공간을 지하에 배치, 바깥으로는 유리지붕만 드러나는 형상이다. 유리지붕은 대지의 경사에 맞게 6개 경사면으로 물이 흘러내리는 듯한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했으며 능선에 맞춰 화강암 계단(Stone River)을 설치했다.

예울마루는 문화예술의 너울이 가득 넘치고 전통가옥의 마루처럼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더불어 '마루'에는 산꼭대기, 하늘이라는 뜻도 담겨 있어 예울마루의 푸른 유리 지붕을 '하늘에서 흐르는 강'이라고도 부른다.

유리지붕 아래 땅 속에는 가로 200m, 높이 7층 규모의 건물(연면적 2만5천145㎡)이 감춰져 있다. 최첨단 시설을 갖춘 대극장(1천21석), 무대 변형이 자유로운 소극장(302석), 광(光) 천장 시스템을 도입해 자연채광에 가까운 밝은 분위기에서 작품 감상이 가능한 3개의 전시실, 리허설룸, 카페 등이 주공간이다.

예울마루 4층 매표소 앞 광장에서 바라보는 여수 바다와 장도의 모습은 그림 같은 풍경을 연출한다. 더불어 지난 2022년 개통된 선소대교의 야경까지 어우러지면 저녁공연 관람을 마치고 나온 관람객들 사이에서는 탄성이 터진다.

예울마루는 친환경 건축물이라는 점에서도 눈길을 끈다. 지붕에 설치된 태양전지 시스템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건물에 필요한 일부 수요를 담당하고 있으며 경사지형을 활용한 열미로(熱迷路) 시스템을 운영하고 화장실 용수와 조경 용수로 우수(雨水)를 재활용하고 있다. 또 태양광 및 LED를 이용한 조명을 진입계단, 바닥분수, 외부 데크 등에 모두 50개를 설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고 있다.

여수 GS칼텍스 예울마루
'예술의 섬' 장도. /예울마루 제공

■ '예술의 섬' 장도


예울마루에서 나와 바로 앞 장도로 향하는 여정은 색다른 경험이다. 조수 간만의 차로 하루에 두 번 나타났다 사라지는 다리를 지나야 하는 터라 '물 때'를 확인하는 게 필수다. 섬 전체가 지붕 없는 미술관이자 예술가들의 창작 기지, 시민들의 힐링 쉼터인 장도의 관문 진섬다리는 총길이 330m로 기존 석축교의 원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루에 두 번 물에 잠기도록 설계됐다.

'예술의 섬 장도'는 입주 작가들의 장도 창작스튜디오, 장도전시관, 다도해 정원, 해안 산책로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핵심 공간은 산의 능선을 해치지 않기 위해 지하에 파묻듯이 세워진 장도전시관으로 도미니크 페로가 콘셉트 디자인을 맡았다. 지하 전시관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얼핏 이화여대 ECC 건물의 축소판처럼 보인다. 푸른 잔디밭을 지나 회색 담벼락의 지하로 내려가는 나직한 경사로에서 만나는 건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으로, 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예상치 못한 공간이 펼쳐진다.

1천465㎡ 규모의 전시관은 바다가 보이는 전시실을 비롯해 바다 전망과 해송, 피아노 연주가 어우러지는 아트카페, 교육실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중앙홀 천장에 설치돼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하는 아트리움을 통해 관람객들은 낮에는 로비를 통해 들어오는 채광을, 밤에는 은은하게 빛을 발하는 조명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여수 GS칼텍스 예울마루
예울마루와 장도의 노을진 풍경. /예울마루 제공

■ 전시, 공연, 교육이 어우러진 예술 요람

예울마루는 GS칼텍스가 지자체, 지역사회와 함께 일구어온 대표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꼽힌다. GS칼텍스는 지금까지 예울마루 조성과 운영에 1천500억원을 지원했다.

1987년 건립된 여수시민회관이 유일한 문화시설이었던 여수에서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예울마루의 등장은 '가뭄의 단비'였다. 뮤지컬 '맘마미아', '시카고'와 조성진, 정경화, 임윤찬, 서울시향 등 클래식 연주자의 무대를 포함해 오페라, 발레, 연극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공연됐고 라이프 사진전, 한국근현대미술걸작전 등 화제의 전시도 열렸다. 그밖에 예술아카데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등도 꾸준히 열고 있다.

지금까지 예울마루 공연, 전시, 교육 이용객은 총 129만명에 달하며 최근 핫 플레이스로 꼽히는 장도에는 156만명이 다녀갔다. 예울마루는 2023년 한국관광공사 공모 '코리아 유니크 베뉴 52선'에 전남에서 유일하게 선정됐으며 2012년 대한민국 토목건축대상 레저개발부문 최우수상(2012), 한국메세나 대상 대통령상(2013)도 수상했다.

/광주일보=김미은기자

2024062501000257400026437


2024062501000257400026438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