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들이 0곳' 고요한 인천의 7월… 수도권 입주물량 10년만에 최저

입력 2024-06-27 21:07 수정 2024-06-27 21:20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6-28 9면

수도권 입주물량 10년만에 최저
임대차2법에 전셋값도 고공행진
전문가들 입모아 시장불안 가능성


ㄹㅇㄹㅇㄴㅇㄹㅇ.jpg
월간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 추이./부동산R114 제공


7월 인천시의 아파트 입주물량이 단 한 곳도 없는 등 내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10여년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세시장의 바로미터인 경기도의 아파트 입주물량도 전월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입주물량이 줄고 임대차2법 중 '계약갱신청구권(2년+2년)' 4년 만기가 도래하는 만큼 올 하반기 전셋값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7월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은 2천749가구로, 이중 경기도는 2천266가구가 입주한다. 이는 지난 2013년 7월(2천94가구)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인천은 입주 예정 아파트가 단 한 곳도 없다.

경기도 입주물량도 전세수요가 많은 수원, 화성, 용인, 성남 등이 아닌 평택시 고덕동 '호반써밋고덕신도시3차(703가구)', 안성시 공도읍 '안성공도센트럴카운티에듀파크(433가구)', 이천시 마장면 '휴먼빌까사포레(338가구)' 등에 집중됐다.

이런 영향 탓에 전셋값의 오름 속에 7월31일부터 계약갱신청구권 만료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상승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전세시장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이 6월 4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경기도·인천시의 전셋값이 0.07%, 0.13%씩 오르면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입주물량 감소와 함께 임대차2법의 영향 등으로 내년까지 전셋값 고공행진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입주 물량이 2013년 7월 이후 가장 적고, 다음 달이면 임대차2법의 4년 계약 만기가 순차적으로 도래하기 때문에 당분간 전셋값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고, 박원갑 KB국민은행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입주물량이 많지 않고,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임대차 2법)를 도입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7월 말로 시행 4년 차를 맞으면서 시장 불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역시 "7월 한 달 입주물량이 급감한다고 해 전셋값이 폭등하지는 않을 것 같다"면서도 "다만, 수도권 입주물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하고 내년엔 더 줄어들 전망이라 전셋값 상승은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이상훈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