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막한 도시, 정원은 없다

빌딩숲 너머 그린 세상, 수목원이 있다

입력 2024-07-03 20:32 수정 2024-07-09 11:37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7-04 1면

[삭막한 도시, 정원은 없다·(下)] 민간제도 흥행 실패 대안


경기도에 전국의 30% 규모 입지
식물관련 교육·연수 활용도 높고
멸종위기 종자 보존 역할도 수행
등록 문턱 낮춰 설립 활성화해야


1
민간정원제도가 시행 10년을 맞이했지만 경기도 등 수도권에 녹지공간 확보가 미비, 대안으로 수목원 조성 등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작년 5월 개관한 수원 일월수목원.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시행 10년을 맞이한 민간정원제도가 경기도 등 수도권 흥행 실패로 사실상 낙제점을 받은 가운데, '수목원'을 대안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식물에 대한 교육·연수·판매 등 활용도가 높아지는 수목원의 30% 가까이가 경기지역에 밀집돼 있고, 수요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후 위기 등 환경적 측면을 고려해, 수목원 등록 문턱을 낮춰 수목원 설립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3일 산림청에 따르면 전국 수목원 73개 중 21개가 도에 입지해 있다.

그중 사립수목원이 29개 중 11개로 가장 많고, 국립(4개) 1개, 공립(37개) 7개, 학교수목원(3개) 2개 등이다. 수목원은 운영 주체와 목적에 따라 종류가 4가지로 나뉜다.

수원 일월 수목원2
민간정원제도가 시행 10년을 맞이했지만 경기도 등 수도권에 녹지공간 확보가 미비, 대안으로 수목원 조성 등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작년 5월 개관한 수원 일월수목원.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수목원은 식물을 재배하고 전시하는 정원보다 한층 확장된 목적으로 운영된다. 최소 1천 종류 이상의 품종을 수집·증식·보존하고, 학술적·산업적 연구활동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관리되는 시설이다.

지난 2021년 수목원이 재배식물의 판매와 교육·연수시설, 야영장 설치·운영 등의 수익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정되면서 활용도는 더욱 높아졌다.

경기도에 수목원 조성 비율이 높은 이유도 급증하는 녹지공간 수요뿐 아니라 각종 연구기관과 인프라, 대학시설 등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5년 개관한 가평의 아침고요수목원은 연간 100만명이 방문하고 있고, 광주시 화담숲도 연간 70억원 이상의 입장 매출을 올릴 정도로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온으로 각종 생물종의 소멸이 급격화되면서 도내 생물 보존을 위한 수목원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경북의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은 시드뱅크를 만들어 2천종 이상의 야생식물 종자를 보존 관리 중이고, 최근 사립수목원들도 멸종위기종 중심의 종자 보관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도심 내 난개발로 산림과 가용 토지가 줄어드는 등 수목원 역시 정원처럼 조성 여건이 어려워졌다.

이에 까다로운 등록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사립·학교수목원은 2㏊ 이상의 조성면적과 100㎡ 이상의 양묘장, 종자저장고 및 인큐베이터가 설치된 연구실 등의 필수시설을 갖춰야 하고 전문관리인 1인 이상과 1천 종류 이상의 수목유전자원(변종 및 품종) 등의 조건을 거쳐야 시·도지사를 통해 등록된다.

부산대 조경학과 김동필 교수는 "수목원은 단순히 시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떠나 생물 다양성 차원에서 굉장히 가치가 높은 사업"이라며 "장기적으로 기후변화 측면에서도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에 따라 다른 기후, 계절 변화로 종자가 멸종하기 전 저장해 보존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표 참조

2024070401000061500004733

→ 관련기사 (녹색공간 투자땐 경제·관광효과… 지자체장 의지에 달렸다 [삭막한 도시, 정원은 없다·(下)])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2024070401000061500004732



경인일보 포토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고건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