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와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건설·부동산 업종의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들 업종의 대출 잔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가 하면 연체율 역시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전체 금융권(은행+비은행)의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각 116조2천억원(55조5천억+60조7천억원), 500조6천억원(309조1천억+191조4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해당 업종의 대출 통계를 금융업권 별로 나눠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 1분기(건설업 112조1천억원·부동산업 478조2천억원)보다 각 3.66%, 4.68% 늘었고 2022년 1분기(101조4천억원·437조2천억원)와 비교하면 2년 새 14.60%, 14.50% 증가했다.
대출 규모뿐 아니라 부실대출 지표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올해 1분기 기준 각 7.42%, 5.86%로, 역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1분기(3.38%·3.15%) 이후 1년간 각 2.2배, 1,9배로, 2022년 1분기(1.79%·1.31%) 이후 2년간 각 4.2배, 4.5배로 뛰었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건설업이 19.75%, 부동산업은 14.26%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1년 전(4.41%)이나 2년 전(2.22%)의 무려 4.5배, 8.9배 수준을, 부동산업도 최근 1년, 2년 사이 각 3.3배(4.36%→14.26%), 7.8배(1.82%→14.26%)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PF 익스포서의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부동산 시장 부진 지속과 건설 원가 상승 등으로 부실 위험은 다소 증대된 상황”이라면서 “일부 비은행업권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부실자산에 대한 경·공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