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인천연구원, 세미나서
인건비 부담 임금체계 유연화 필요
혼인·출산 등 불이익 해소 주문도
한국은행 인천본부와 인천연구원이 16일 공동 개최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인천경제 과제' 세미나는 인천지역 인구구조·노동시장 여건 변화 양상을 전망하고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이철희 서울대 교수는 '장래 인구변화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 전망과 정책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청년 노동인력 감소에 대한 탄력적 대응' '고령친화적 일자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근식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출생 성비를 활용한 혼인 감소 및 저출생 원인 분석'이란 주제로 발표하면서 '혼인 증가에 집중한 정책'의 필요성과 '혼인·출산으로 인한 직업상 불이익 해소'를 주문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오준병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국 모든 광역자치단체가 노동시장 유연성 확대, 생산성 향상, 청년 유치 등 유사한 정책에 집중할 때 인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유망 산업을 인천에 유치해 서울과 경기에서 출퇴근하도록 만들고 인천에서 생산과 소비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며 "수도권 광역 단체장이 협약을 맺어 연구개발부터 생산·판매, 유통 등을 수직적으로 결합해 사회적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상호 보완성을 갖는 산업 정책을 협의해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명삼수 인천시 재정관리담당관은 저출생에 대한 전국적 현상과 인천시를 비교했다. 그는 "인천시가 지난 6월 인구 300만이 넘었지만 합계 출산율은 계속 줄고 있다"며 "지방재정 측면에서 인구 감소는 세입 감소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또 명 담당관은 출생에 대한 재정지원책과 저출생 정책에 한해 현금성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영석 인천상공회의소 경제진흥실장은 산업계 요구 사항인 '임금체계 유연화'를 제시했다. 유 실장은 "국내 기업들은 보편적으로 연령대가 높아지면 인건비 부담이 커지는 임금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업무의 성격과 난이도에 따라 임금을 받도록 하는 유연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민규량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부 연구위원은 양성평등에 기반한 육아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중장년층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폴리텍을 비롯한 지역 대학과 유기적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인천시가 청년인구 유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청년이 필요한 산업군을 유치하고 대학캠퍼스를 '청년 유입기지'로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
인구구조 변화 대응 '지역경제 해법찾기'
입력 2024-07-16 20:38
수정 2024-07-16 20:38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7-17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