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법적지위 변경 등 정책… 공립유치원 교사 등 반발
"현장 목소리 반영" 요구에 "특정 집단 발언권, 형평성 문제"


수원시-어린이집-_어린이날_-행사.jpg
경기도교육청이 유보통합을 추진하지만 경기교사노조가 보이콧에 나서면서 삐걱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경인일보DB

 

경기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유보통합'이 시작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영유아 보육과 교육을 통합하는 부분을 놓고 경기도 내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반발(7월2일자 7면 보도="보육 종사자, 교원으로 전환 안돼"… 공립유치원 교사 '유보통합' 비판)한 데 이어, 이들이 조합원인 경기교사노동조합에서도 도교육청의 유보통합 추진에 각을 세우며 관련 회의를 '보이콧'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2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이달 세 차례에 걸쳐 '경기도 교육·보육 현장 방문 권역별 회의'를 진행한다. 지난 17일 북부권(1권역)을 시작으로 19일에는 중·서부권(2권역)에서 회의를 열었고 오는 25일에는 동·남부권(3권역) 회의가 예정돼 있다. 이번 회의는 유치원·어린이집 관계자들에게 도교육청의 유보통합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러나 도내 대표적 교원노조인 경기교사노조가 회의에 공식적으로 불참을 선언하며 도교육청의 유보통합 정책 추진이 첫 단계부터 거센 저항에 부딪혔다. 경기교사노조는 회의 중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공식 발언권과 현장 교사의 참석 비율을 확보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를 도교육청이 수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지난 16일 성명문을 내고 회의 불참을 결정했다.

경기교사노조 관계자는 "현장의 교사들은 유보통합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별로 없다"며 "가장 중요한 건 일선에서 애쓰고 있는 선생님들의 목소리를 잘 듣는 것이고, 도교육청은 이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해서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보통합을 추진 중인 교육부는 앞서 지난달 27일 '유보통합 실행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통합한 통합기관(학교)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보육 종사자들의 법적 지위를 교원으로 변경하는 내용과 영·유아학교 시범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영유아에게 1일 12시간의 이용시간을 보장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이를 두고 도내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여전히 반대하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경기교사노조 차원의 무력시위까지 더해져 향후 진통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교사노조 요구대로 회의 참석 비율을 정하면 형평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수용하지 않았다. 특정 집단에 발언권을 주는 것보다는 생생한 다수의 의견을 들으려 했다"며 "경기교사노조와 소통을 계속해 왔고, 우선 3권역 회의까지 마무리한 뒤 기관이나 단체의 의견을 듣는 것에 대해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