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교사노조 설문 '기형 운영' 우려
"선택과목 쏠림" 상대평가화 반대

내년부터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경기도 내 일선 교사 대다수가 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경기교사노동조합에 따르면 경기교사노조는 지난 12~19일 도내 중·고교 교사 1천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고교학점제 실태조사를 했다. 이 조사에서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기형적으로 운영' 61%, '조만간 사라질 제도' 38% 등 무려 99%가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도내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선택과목 평가 방식을 절대평가가 아닌 상대평가로 바꾸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상대평가의 경우 학생들이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져 특정 과목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 제도의 취지가 무색해진다는 것이다. 평택의 한 고교 교사는 "상대평가로 5등급제를 적용하면 학생들이 성적에 대한 유불리를 따질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고교학점제 시행으로 교과목이 늘어나기 때문에 교사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시흥의 한 고교 교사는 "평가 계획부터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수행평가까지 해야 해 너무 힘든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절대평가로의 방향은 맞지만, 전면 절대평가로 했을 때 성적 부풀리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온라인 학교 운영을 통해 학교의 부담을 덜어주려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