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인천 북부권 건립' 지원 축소

'300~700석' 적정·관리 주체 변경
사업비 절반·운영비 지자체 부담
계양 870석 보유 '동네공연장' 비판
민예총 "문화정책 기본 철학 부재"

인천시가 북부권 문화예술회관 건립사업을 직접 추진하지 않고 건립비의 최대 50%를 해당 지역에 지원하기로 계획을 변경하자 유치전에 뛰어들었던 서구와 계양구뿐만 아니라 지역 예술계도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는 문화예술회관 공연장 건립 규모도 1천석 이상에서 300~700석으로 축소했다.

인천시는 지난 14일 '북부권 문화예술회관 건립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를 발표하면서 "문화예술회관이 필요한 구(검단·계양·영종)에 건립 비용의 최대 50%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용역을 맡은 한국자치경제연구원은 '대공연장 1천200석+소공연장 300석' '중공연장 900석+소공연장 300석' 등 2개 방안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했다. 이 중 대공연장 1천200석 건립 방안은 B/C(비용대비편익)값이 0.91로 나와 기준치(1)를 넘지 못했다. 중공연장 900석 방안은 B/C값 1.05로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했다.

인천시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회관 공연장의 적정 규모를 300~700석으로 봤다. 그리고 검단·계양·영종 등 문화예술회관이 필요한 곳에 건립 비용의 50%가량을 지원하기로 했다. 문화예술회관 건립 수가 1개에서 최대 3개로 늘었지만, 건립·관리 주체가 시청에서 구청으로 변경되고 공연장 규모도 축소된 것이다. 해당 기초자치단체는 문화예술회관 건립비의 절반과 매년 관리운영비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애초 인천시는 1천석 규모의 공연장 등을 갖춘 문화예술회관을 북부권에 건립하기로 하고 지난해 5월 관련 용역을 의뢰했다. 이후 서구와 계양구의 유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였고, 인천시는 용역 결과와 문화시설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광역시설 직접 건립'에서 '300~700석 규모 구립시설 건립비 최대 50% 지원'으로 계획을 바꿨다.

서구와 계양구는 반발하고 있다. 강범석 서구청장은 "애초 1천석 규모의 공연장을 갖춘 문화예술회관을 짓겠다는 계획과 다르게 용역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유감"이라며 "인천시와 소통하면서 검단지역에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윤환 계양구청장은 "계양에는 지금도 870석 규모의 공연장이 있다. 계양아라온에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해 국제적 관광명소로 만들려고 했던 것이지 동네 공연장을 지어달라고 했던 것이 아니다"며 "용역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인천 문화예술계도 인천시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창길 인천민예총 정책위원장은 "인천시가 북부지역의 문화 인프라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을 추진했는데, 결국 그 결정을 기초자치단체에 떠넘긴 셈"이라며 "문화 정책에 대한 기본적 철학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인천시는 공연장 규모 등은 건립을 원하는 구와 협의해 변경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김충진 인천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예시를 300~700석으로 들었을 뿐 각 지역의 수요에 맞춰 공연장 규모는 늘릴 수 있다"며 "각 구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