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대학 '딥페이크 성범죄' 확산
학번 등 피해자 개인정보 노출까지
텔레그램 통해 유포… 남부청 수사
학생회들 "사진 비공개 전환하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이용해 지인의 사진을 음란물과 합성해 유포하는 '딥페이크 성범죄'가 범죄의 온상으로 떠오른 가운데, 경기도 내 고등학교와 대학을 중심으로 피해를 주장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26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날 수원·화성·여주 등 지역 내 다수 고교와 대학에서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를 주장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전날 인스타그램 등에선 다수의 고교 학생회 공식 계정에 "본교 학생들의 신상정보 및 불법 합성물이 텔레그램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SNS에 공개된 사진을 비공개로 돌리고 주의를 당부드린다"는 내용의 공지글이 게시됐다.
해당 게시글이 올라온 도내 한 고교의 교사는 "사실 이런 딥페이크 성범죄는 작년부터 나타났는데 최근 더 부각되는 것 같다"며 "과거 온라인에서 같은 반 학생 사진을 찍어 음란물에 합성을 의뢰한 학생을 학교폭력위원회에 회부한 사례도 실제로 있었다"고 했다.
대학가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SNS 상에서 '딥페이크 범죄 피해 학교'를 제보받는 방에는 경기대와 아주대, 단국대 등 도내 대학 곳곳에서 피해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다수 나타났다. 특히 한 대학에서는 피해자의 구체적인 학번 등 개인정보까지 노출돼 2차 피해 가능성도 제기됐다.
단국대 재학생(3학년) A씨는 "코로나19 이후 친구들을 다시 만나게 되면서 많은 사진을 찍었는데, 그 사진들이 누군가에게 악용되는 건 아닌지 불안한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대응에 나선 상태다. 도교육청은 경찰, 개별 학교들과 협조해 신고 내용을 공유하고 관계 기관과의 협업으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피해 예방을 위해 학생 지도 관련 공문을 각 학교에 발송하는 한편, 학교에서도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 역시 딥페이크 성범죄를 들여다보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현재 개별 피해자들의 신고를 접수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온라인상의 딥페이크 작업물 유포 사실이 확인되면 각 경찰서에서 담당하는 해당 사건을 지방청으로 이관해 수사하겠다는 방침이다.
경기남부청 김수진 사이버수사2대장은 텔레그램을 이용한 범죄의 경우 수사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텔레그램을 통해 의뢰된 딥페이크 성범죄 사례도 피의자를 추적·검거해 검찰 송치까지 한 사례가 있다"며 "딥페이크 성범죄 사안은 엄중한 만큼, 적극적으로 수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원·김형욱기자 zon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