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전 경기도청 앞 거리에서 경기장애인부모연대 등 관계자들이 지난 7일 청주에서 숨진 발달장애인 일가족을 추모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24.5.2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21일 오전 경기도청 앞 거리에서 경기장애인부모연대 등 관계자들이 지난 7일 청주에서 숨진 발달장애인 일가족을 추모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24.5.2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장애인 10만명당 사망률이 국민 전체 평균의 5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에서 올해 발표한 2022년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 10만명당 3천885명이 사망했다.

전체 국민 사망률(10만명 당 727명)의 5.3배 규모다.

장애인 사망 원인으로는 몇 년간 1순위로 조사됐던 악성신생물(암)이 2022년에도 611명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 등 병인이 불확실한 신종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397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처럼 장애인 사망원인 중 암의 비중이 꾸준히 높은데도, 국립재활원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암 검진 수검률은 2022년 기준 45.5%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 수검률은 57.7%로 12.2%p 높았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2018년 장애인건강주치의 1차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 4차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장애인이 주치의를 선택해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다만, 복지부 자료를 보면 건강주치의 참여 장애인 수는 올해 8월 기준 5천963명으로, 지난해 등록 장애인(264만2천명)의 0.23%에 그쳤다.

백혜련 의원은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건강관리를 위해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가 본 사업으로 정착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