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성원(동두천·양주·연천을·사진) 의원은 7일 국정감사에 나서 문재인정부 당시 예비타당성조사도 생략한 채 진행했던 AMI(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구축)사업이 실패로 끝났다며, 특정 사업자를 산업부가 밀어준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에 따르면, AMI 사업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원격검침인프라를 2020년도부터 2022년까지 3년동안 7천50억원을 들여 아파트 500만호에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사업을 맡은 것은 누리플렉스 컨소시엄으로, 2020년11월, 이듬해 1월, 그 이듬해 4월 등 3차례 사업추진 계약을 체결했다.
그런데 이 컨소시엄은 첫해에 구축실적을 못 채워 26억원을 국가에 반납하고도 2차 사업에 선정됐고, 여기서도 진도율 0%를 기록, 국고보조금 전액을 모두 반납했음에도 3차 경쟁입찰에서 낙찰됐다. 마지막 계약 역시 절반밖에는 수행하지 못했다. 그 결과 누리플렉스 컨소시엄은 정부와 협약한 목표 500만개 중 71만1천개만 교체했다. 사업목표 달성률 14.1%였다.
김 의원은 "누리플렉스의 전신 누리텔레콤의 사업주는 문재인 전 대통령 후보시절 중앙선대위에서 활동했다"면서 "이 부분에서 보면 산업부 차원에서 밀어줬다는 것 밖에는 안된다"고 질책했다.
/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