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인천 접경지 국민안전 대책 철저히 점검해야

입력 2024-10-15 20:08
지면 아이콘 지면 2024-10-16 19면

송해면 당산리에서 바라본 북한초소
북한이 국경선 부근 포병부대에 완전사격 준비태세를 지시해 남북간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14일 오전 인천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에서 바라본 북한초소에 적막감이 흐르고 있다. 2024.10.14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북한이 15일 경의선과 동해선 남북 연결도로를 폭파했고 우리 군은 대응사격으로 맞섰다. 군사분계선 양측에서 북한은 남북 단절 의지를, 우리는 대남 적대행위에 대한 대응 의지를 무력시위로 보여준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말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했다. 경의·동해선 연결도로 폭파는 남북간 교류협력과 평화통일의 종식을 선언하는 이벤트다.

김 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 발언 이후 올해 들어 북한의 대남 도발 언행이 점입가경이다. 올해 1월 사흘간 연평도를 겨냥한 포격 도발을 감행했다. 철도, 도로 등 남북교류 협력 인프라를 훼손하더니 급기야 폭파로 단절해버렸다. 지난 12일엔 남측 무인기 평양 침투를 주장하고, 13일엔 '국경선 8개 포병여단의 완전 사격 준비태세'를 강조했다. 우리측도 유사시 북한 정권 종말을 경고하며 그 어느 때보다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접경지역 대표 언론으로서 경기·인천 접경지 국민들의 안전에 집중해야 할 정세다. 지난 1월 북한의 포격도발을 받았던 연평도의 한 부녀회장은 '유사시 주민 피난대책'이 없다고 분개했다. 유사시 섬에 갇혀 죽어야 하는 상황은 14년 전 연평도 포격전 때와 같다는 것이다. 당시 경인일보 사설은 군·경과 민간자원을 망라한 서해5도 국민 소개 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경기도 접경지 주민들은 대피소가 부족하다. 2010년 연평도 포격전 이후 부실한 방공호·대피소 실상이 드러나자 정부는 2011년부터 접경지역 대피소 증설 및 현대화 사업을 벌였다. 하지만 사업 초기 3년간 49개의 대피소를 신설한 뒤로는 예산부족으로 2022년까지 28개를 신설하는데 그쳤다. 경기북부 접경지 국민 30%는 유사시 대피할 공간이 없다는 계산이 나왔다.

현재와 같은 남북 긴장 정세라면 정부와 경기·인천 광역·기초단체장들은 접경지역 현장으로 달려나가 국민안전 대책을 살펴봐야 마땅하다. 유사시 안전시설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이를 메울 긴급대책을 신속하게 수립해야 한다. 접경지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 확보에 헌신하는 현장 행정이 있어야, 접경지의 고립감과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고, 그래야만 북한의 도발이 실제로 발생해도 국민의 응전 의지를 하나로 유지할 수 있다. 후방에서 남북 긴장 고조의 원인과 배경을 놓고 한가한 소리를 할 때가 아니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