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맹정음 창시한 송암 박두성 선생 고향
법정기념일 제정 후 인천서 첫 행사 열려
송암점자도서관, 카드게임 등 대회 진행
‘한글 점자의 날’(11월4일)인 4일 오후 1시께 인천 미추홀구 송암점자도서관 3층에선 ‘점필’(점자 찍는 도구)로 점자를 찍어내는 소리가 울려 퍼졌다. 훈맹정음이 만들어진 지 올해로 98주년을 맞아 인천시각장애인복지관과 송암점자도서관이 개최한 점자 관련 경진대회 현장이었다.
점자 속기 대회에 참여한 시각장애인 11명은 종이에 점관(점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쓰도록 돕는 판)을 고정시킨 뒤 점필로 5분 동안 ‘송암 훈맹정음’을 반복해서 찍었다. 한 참가자는 5분 동안 A4용지 한 페이지를 가득 채웠다. 언뜻 단순해 보여도 점자 쓰기 규칙을 잘 숙지해야만 가능한 작업이다. 점자는 반대 방향(오른쪽→왼쪽)으로 작성된다. 그래야 종이를 뒤집었을 때 돌출된 부분을 손끝으로 읽을 수 있다. 시각장애인들은 점자를 읽는 것과 쓰는 것을 다 익힌다.
비슷한 시각 2층 열람실에선 숫자 점자를 활용한 카드 게임이 펼쳐졌다. 가장 큰 숫자가 적힌 카드를 낸 사람이 모든 카드를 갖는 방식으로, 마지막에 자신이 가진 카드의 숫자를 더해 승자를 가리게 된다. 송암점자도서관 정선이 팀장은 “문화체육관광부 점자 출판시설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점자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동기부여가 되도록 이 게임을 개발했다”고 했다.
이날 오후 2시께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국립세계문자박물관에서도 한글 점자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2020년 ‘한글 점자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뒤 한글 점자 ‘훈맹정음’을 창제한 송암 박두성 선생의 고향인 인천에서 기념식이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고,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가 주최했다. 지난해 개관한 국립세계문자박물관에는 훈맹정음이 전시돼 있다.
행사에 참가한 강은하(43)씨는 “5년 전 시각을 잃고 점자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훈맹정음의 창제 원리가 무척 과학적이고, 점자가 시각장애인에게 정말 중요한 소통의 매개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김영일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장은 “송암 박두성 선생은 뉴욕식 4점 점자나 일본어 점자를 쓰자며 한글 점자를 반대하는 이들의 목소리에도, 시각장애인이 더 편리하게 글을 읽게 하겠다는 일념으로 6점 점자인 훈맹정음을 발명했다”며 “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 박두성 선생의 뜻을 본받아 앞으로도 우리의 소중한 한글 점자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