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규헌 (수원 이안과 원장)
"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끼어서 남 보기가 창피합니다." "눈이 몹시 가려워요. 그렇다고 눈을 긁을 수도 없구요." "우리집 아이의 흰자위가 갑자기 부풀어 올랐어요."

날씨가 따뜻해지고 황사가 날리는 봄에는 이같은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이들을 부쩍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봄이 되면 해마다 찾아오는 불청객인 눈 질환 탓이다.

봄철 대기중에 날아다니는 꽃가루나 풀, 동물의 털 등으로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사람들은 흔히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앓을 수 있다. 보통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사람에게 약한 결막염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증상은 갑자기 눈이 가렵고 눈물이 많이 나며, 눈동자가 충혈되는 게 특징이다. 급성으로 생기면 아주 심하게 흰자위가 부어오르는 결막 부종도 함께 나타나게 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게 되므로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대증요법(병의 원인보다는 증상을 위주로 치료하는 요법)으로 치료한다. 그러나 시중 약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 제제와 같은 약물은 가려움이나 충혈 따위의 증상은 호전시키지만 부작용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들 약물을 오래 사용하면 백내장, 녹내장 등의 합병증으로 심한 경우에는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원인이 되는 항원을 찾아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발병횟수는 감소하고 증상도 가벼워진다.

황사에 따른 눈병은 매년 이맘 때쯤 중국 황하강 유역에서 발생하는 황사가 기류를 타고 날아오면서 황사 먼지와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 나타난다. 이처럼 황사 먼지가 눈에 들어오면 눈 흰자위 상피세포를 덮고 있는 막을 자극해 손상을 준다. 증상은 눈이 충혈되거나 눈물이 많이 흐르며, 심하면 출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눈 속에 모래알이 들어간 것처럼 까끌까끌하며 통증이 있고, 눈 주위가 부어오르는 경우도 있다. 때에 따라서는 각막상피가 벗겨져 심한 통증이 생길 수도 있다. 황사로 생기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출하고 돌아온 뒤 생리식염수로 눈을 씻어주거나, 인공 누액(눈물)을 눈에 넣어주는 것도 좋다.

특히 콘택트 렌즈를 끼는 사람은 렌즈를 더욱 깨끗이 씻어줘야 한다. 눈을 비비거나 소금물로 눈을 씻으면 자극에 따라 증상이 악화되므로 삼가는 것이 좋고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최근 스테로이드 제제의 점안약을 오래 사용한 20대가 녹내장이 생겨 시력을 잃은 예도 있었다. 이에따라 이러한 약을 사용할 때는 사전에 안압측정 시야검사 및 시신경검사 등을 해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약물 투여 외에도 집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냉찜질 즉, 얼음수건이나 찬물 세안 등으로 눈을 차게 해주면 도움이 된다.
수원이안과(http://www.119e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