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배상록·최해민기자]재정난으로 모라토리엄(지불유예)까지 선언한 성남시가 물 관리에 혈세 수백억원을 '물쓰듯'하려다 감사원에 적발됐다. 감사원은 시의 상수도사업은 정부가 주도하는 광역정수장 건립 사업과 중복되고 하수도사업은 불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7일 감사원에 따르면 성남시는 지난해 8월 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안을 마련, 올해말까지 모두 271억원을 들여 현재 시설 노후화로 운영이 중단된 복정 제2정수장(시설용량 5만㎥/일)을 개선하고, 복정 제3정수장(시설용량 28만㎥/일)에 모두 683억원(제2정수장 86억원)을 들여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키로 했다. 현재 상수도사업은 관련 용역이 진행중이다.

하지만 이같은 계획은 환경부가 2009년 12월 고시한 한강권 급수체계 조정 방안 구축사업 기본계획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혈세 낭비가 우려된다는 게 감사원의 설명이다.

실제로 환경부는 급수체계 기본 계획을 수립하면서 복정 제2정수장을 개량해 재가동하는 것보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추진키로 한 시설용량 하루 24만㎥ 규모의 광역정수장 신설이 합리적이라고 판단, 이미 2년여전부터 사업을 추진중이다.

감사원은 "성남지역 용수 수요량은 2025년 기준 46만여㎥/일로, 광역정수장과 복정 제3정수장만으로 충분히 소요 용수공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시는 분당구 대장택지지구 등 3개 택지지구내 하수처리를 위해 총 364억원을 들여 지난해 10월 대장하수처리시설(처리용량 3천500㎥/일)과 고등처리시설(처리용량 4천200㎥/일), 석운처리시설(처리용량 150㎥/일) 등을 각각 신설키로 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현 제2하수처리시설(처리용량 21만5천㎥/일)에 2025년 기준 하수유입량 추정치가 19만여㎥/일 밖에 되지않아 2만5천㎥/일이 남는 만큼, 3개 택지지구 하수량(7천여㎥/일)을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처리시설을 신설할 필요가 없다고 권고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시가 필요없는 하수처리시설을 신설하는데 300억여원, 상수도사업에서 광역정수장과 중복되는 제2정수장 개선사업 등에 357억원 등 모두 650억여원을 낭비하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광역정수장만 있다면 상수도 공급 라인이 일원화돼 유사시 수급 조절이 불가능해질 수 있는 만큼 복정 제2정수장 운용은 필요하다"며 "하지만 하수처리장에 대해선 감사원의 권고를 수용, 처리장은 신설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