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의 가계부채 연체자가 급증하면서 심각한 후폭풍이 우려되고 있다.

24일 금융권과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체 카드사 대출자 중 30일 이상 연체자 비율이 5.6%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 4.5% 였던 것과 비교하면 1년여만에 1.1%p나 상승했다.

캐피탈사와 저축은행은 이보다 더 심각하다. 같은 기간 캐피탈사는 6.1%에서 8.2%로, 저축은행은 12.2%에서 14.9%로 상승해 각각 2%p 이상 치솟은 셈이다.

연체자 비율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데 더해 지난해부터는 은행권 가계대출 규제로 제2금융권 가계빚이 급속히 늘고 있어 가계부채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2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이 183조7천억원에서 올해 5월 186조원으로 늘어나 불과 6개월만에 2조3천억원이 증가했다. 반면 시중은행 가계대출은 같은기간동안 8천억원 증가하는데 그쳐 제2금융권 가계대출이 시중은행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제2금융권은 주로 신용등급이 낮아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어려운 서민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폭등하고 있는 물가에 실질소득 감소, 자영업간 경쟁이 치열해져 서민들의 빚 부담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다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집을 담보로 생활비 대출을 늘리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험해약이 급증하고 '카드 돌려막기'도 급증하고 있어 가계 부채 부담이 위험수위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가 어려워질수록 저소득층이 받는 타격은 상위계층보다 훨씬 크다"며 "저축 등 여유자금이 없다 보니 제2금융권이나 사금융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