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연구기관 유사·중복연구 빈번

공무원 교육 관련만 4건 진행

동일제목 연구 겹치기 수행도
경기도 산하 연구기관들이 다른 기관들과 '겹치기' 연구보고서를 내거나, 얼마 안되는 기간 내에 같은 제목의 '중복' 연구보고서를 내는 경우가 허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관간 연구내용을 조율해야 할 경기도가 실국 별로 소통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연구기관들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경기도가 지난 8월 한 대학교 산학협력단에 발주한 '경기도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명사랑(자살예방)사업 효과성 정책방안 연구'는 그 주제나 내용면에서 경기복지재단이 2009년 이후 추진한 '경기도 노인 자살의 현황 및 과제' 등 3건의 과제와 비슷하다.



A학회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한 '지방재정 건전화 방안연구'도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해와 올해 발표한 '지방법인세 도입의 논리와 과제방안', '국세와 지방세의 조정방안 연구' 등 3건의 연구 보고서와 주제가 유사하다.

더구나 경기복지재단의 경우 지난 2008년부터 올해까지 사회복지 공무원 교육과 관련한 연구만 4건이나 진행했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에 관한 연구'도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 '무한돌봄센터 운영 등에 대한 보고서'는 2010년 한 해 무려 6차례나 발표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가족여성연구원 역시 지난 2009년과 지난해 '가정보육프로그램 개발'이라는 똑같은 제목으로 연구를 두 번이나 중복 수행했다.

경기도의회 한 의원은 "경기도가 허브역할을 잘못해 건당 수천만원이 소요되는 연구들이 기관별로 또는 기관 내에서 수차례씩 중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연구기관 관계자는 "같은 주제라 해도 각기 다른 연구이며, 기관 내에서 중복 연구된 것은 연차별 트렌드를 조사한다는 차원으로 이해해 달라"고 해명했다.

/최해민기자

경인일보 포토

최해민기자

goals@kyeongin.com

최해민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