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스포츠와 비교해서, 역도와 같이 빠른 시간 안에 진행되는 스포츠는 거의 없을 듯하다.

초스피드로 진행되는 경기의 특성상 부상의 발생도 순식간에 일어나게 된다. 최근 올림픽 경기에서 사재혁 선수가 시합도중 팔꿈치가 탈구되는 것을 생생하게 기억하실 듯하다. 본 칼럼을 쓰기 위해 만났던 선수도 얼마 전 어깨 힘줄이 파열되는 부상을 연습 중에 겪었다고 했다.

역도는 부상의 강도 또한 여느 스포츠보다 심하다고 할 수 있다. 어깨나 다른 관절의 탈구 혹은 골절 혹은 힘줄 파열과 같은 손상이 순간의 방심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부상을 입지 않으려면 먼저 밸런스의 강화, 그리고 집중력 유지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밸런스가 중요한 역도 운동에서 무게 중심을 정확히 잡아야 부상을 줄일 수 있다. 무릎 관절이 아닌 엉덩이 관절에 무게 중심이 실리도록 집중을 해야 한다.

충분한 스트레칭 및 워밍업이 부상 예방에 도움이 되며 역도 선수라면 본운동 전에 스트레칭하는 시간만 거의 30여분을 소요하는 것이 필요하다. 평상시 훈련은 본인의 최대 근력의 70~80% 정도만 발휘하는 편이 연습 중 부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근육은 훈련 후 휴식을 통해서 단련되기에, 만일 월·화·수를 훈련했다면 목요일은 좀 가볍게 훈련량을 줄이도록 하고 금·토 훈련 이후 일요일에는 완전히 휴식을 취하는 스케줄을 추천할 수 있겠다.

체급 운동이니 만큼 체중 감량이 중요한데 심한 체중 감량으로 인해 소위 쥐가 낫다고 말하는, '근육 경련'이 시합 중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미리 평상시에 필수 무기질이 함유된 음식 및 종합 비타민 등을 섭취하고 경우에 따라선 체중 계측이 끝난 직후 시합에 들어가기 직전에 필수 무기질 및 이온 함유 수액 주사를 맞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기본적인 사항이지만 언급을 하면, 손가락으로 바를 감쌀 때 힘이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엄지손가락이 나머지 네 손가락 안에 들어가도록 바를 잡아야 한다. 또 바를 바닥에서 당길 때, 팔로 당기기보다는 보다 근위부, 즉 몸통을 이용해서 당기는 느낌을 연습하도록 한다. 허리 높이를 가능한 낮추는 것이 허리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아주대학교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윤승현·이두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