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신청사의 큰 그림이 그려졌다. 도청사와 경기도의회 의사당 건물만 덩그러니 들어서는 단순 청사가 아닌 호텔과 공연장·광장·오피스·학교 등이 어우러진 복합단지(경인일보 6월 23일자 1·3면 보도) 형태의 청사다.

수원 광교신도시내 신청사 예정지 일부(2만6천㎡·전체 부지의 21.7%)를 복합시설로 개발해 신청사 건립재원으로 활용하는 계획 등 재원 마련방안도 보다 구체화됐다. 도는 올 하반기 녹지광장 공사를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 착공해 오는 2020년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남경필 도지사는 30일 오전 도청 제1회의실에서 광교 주민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신청사 건립사업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로드맵을 발표했다.

신청사는 호화청사 논란을 빚던 기존 안과 달리 규모를 절반가량으로 축소했다. 6만㎡였던 신청사 건립부지는 3만3천㎡로 축소됐고, 건물 층수 역시 35층에서 20층 전후로 낮출 계획이다.

청사 옆으로는 도의회 의사당과 복합개발시설·공연장·대형광장·오피스·초등학교 등이 그려졌다. 초등학교의 경우 광교신도시내 과밀학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재원마련 방안도 보다 구체화됐다. 앞서 제시된 공유재산 매각대금 2천억원 외에 복합시설 개발에 따른 수익금 1천500억원과 현 수원 매산로 도청사 매각대금 1천300억원, 도유지 개발에 따른 손실보상금 800억원 등이 추가됐다. 도는 이를 통해 신청사를 개발하고도 2천100억원의 여유재원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남 지사는 “그동안 어려움을 겪던 재원확보 문제를 복합개발방식을 통해 해결해 재정부담을 크게 줄였다”면서 “복합개발로 인해 도청역 광장은 365일 24시간 활력이 넘치는 소통과 개방의 혁신공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올해 말까지 국토교통부의 ‘광교신도시 계획 변경허가’를 마무리하고 내년 하반기에 첫 삽을 뜰 예정이다. 도청 미이전을 우려하는 광교신도시 주민들을 위해 경기도건설본부내 신청사건립추진단을 광교로 이전하면서 올해 안에 우선 녹지광장 조성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김민욱·이경진기자 kmw@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