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법정기한(10월13일)을 한달여 앞두고 경기도 각 시·군이 제각각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역들의 셈법이 복잡한 가운데,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이하 획정위)는 6일 국회가 획정 기준을 제시해주지 않더라도 법정 기한까지 단수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획정위는 지난달 전국 지자체에 각 시·도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선거구 획정에 대한 의견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경기도선관위는 지난 4일까지 도내 시·군 여론을 수렴해 획정위에 제출했다.
선거구가 한데 묶여있는 여주·양평·가평에서는 가평을 남양주 선거구에 편입해 여주·양평과 분리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여주와 가평이 한 선거구로 묶여있지만 100㎞가량 떨어져 있는 등 지역 간 거리가 너무 멀어 동질감이 떨어진다는 이유 등에서다.
가평은 남양주와 생활권이 같아 선거구를 재편해야 한다는 얘기지만, 가평과 달리 남양주에서는 “모르겠다”며 별다른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다.
역시 선거구가 묶여있는 양주·동두천에서도 재편에 대한 주장이 나온다. 양주에서는 ‘인구가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라며 양주를 단일 선거구로 획정해 달라는 의견을 냈고, 동두천에서는 ‘연천군과 선거구를 묶는 부분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있다’고 제출했다.
‘현행 유지’를 요청한 곳도 있다. 선거구가 축소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확산(경인일보 9월 3일자 4면 보도)되고 있는 안산에선 ‘현행 유지’ 의견을 제출했고, 고양에서도 “일산동구와 서구가 헌법재판소에서 결정한 인구 기준을 넘어서지만, 선거구 증설이 여의치 않으면 현행 유지 쪽으로 해달라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고양처럼 선거구 증설 필요성이 제기된 수원·용인·화성·군포·광주·김포에선 선거구가 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획정위의 의견 수렴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획정기준이 아직 정해지지도 않았는데 지역에서 이렇게 주장한들 무슨 소용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획정위 관계자는 “획정안을 마련하기 전 지역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듣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한편 획정위는 다음달 13일까지 선거구 획정 단수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송수은·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선거구, 재편-유지 엇갈린 지역 민심
획정위, 경기도선관위 의견수렴
“기준 없어도 단수안 마련”
입력 2015-09-06 23:0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9-07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